Interpretive Coexistence of Negativity Bias with News Frames of Major Conservative Online Newspapers in a Coverage of the Policy of Raising the Tobacco Price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References
선행 연구들은 뉴스 텍스트에서 긍정 프레임과 부정 프레임을 측정함으로써, 뉴스 프레임과 유인가(valence)가 갖는 개념의 차이점을 혼동했다. 본 연구는 뉴스 프레임에서 긍정과 부정 유인가는 언론 편향(media bias)으로부터 비롯할 수 있으며, 이 편향이 뉴스 프레임과 공존한다고 제안한다. 이 이론적 주장을 토대로 본 연구는 담배 가격을 인상한 정책이 시행되기 전과 후에 걸쳐서 주요 온라인 언론사들이 채택한 프레임에서 언론 편 향이 공존하는 정도를 분석했다. 한국 정부는 2015년 1월 1일에 담배가격을 2,500원에 서 4,500원으로 인상했다. 본 연구는 주요 온라인 신문사로 조선닷컴, 동아닷컴, 매일경 제를 선택했다. 근거 이론 방법을 적용한 결과, 이들 온라인 신문사는 여론, 시행, 부작 용 등 다양한 프레임을 보도에 적용했다. 정책 시행 이전에 이들 신문사는 이해 단체와 국민, 정치인들이 정책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정부가 왜 이 정책을 도입했는지, 정책은 어떻게 시행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정책이 시행된 뒤에는 이들 신문사는 정책이 갖는 경제 효과, 부작용, 흡연율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강조했다. 특히, 이 부작용 프레임에 담긴 부정적 논조는 두드러졌으며, 건강 프레임과 개선 프레임에 내재한 긍정 논조는 잘 드러나지 않았다.
Previous framing studies revealed conceptual confusion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a news frame and valence by measuring positive and negative frames from news texts. This study suggests that positive and negative valence in news frames could result from media bias, and that we can identify the bias coexisting with news frames. Given this theoretical argument,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media bias could coexist with the framing patterns of major online newspapers regarding the policy of taxing and raising the price of tobacco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creased the tobacco tax and price from 2,500 won to 4,500 won on January 1, 2015. This study chose three major online newspapers (chosun.com, dongA.com, and Maeil Business) in South Korea. B y u sing a g rounded theory, this study found that the newspapers dedicated such diverse frames as public opinion, implementation, and side effects to their coverage of the policy. Before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online newspapers focused on how interested groups, the public, and politicians tested the policy, why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policy, and how it was implemented.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online newspapers highlighted economic aspects of the policy, its side effects, and the effectiveness for reducing smoking rates. In particular, the negative overtone of the frame of side effects was more salient, while the positive overtone of the frames of health and improvement was least visibl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