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Expertise of Admissions Officer
Ⅰ. 서론 Ⅱ. 대학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황 분석 Ⅲ. 대학 교육훈련 담당자 심층 인터뷰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입학사정관 평가역량 전문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 중 분석가능한 데이터를 보내 준 18개 대학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현황을 분석하였고, 10개 대학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담당자에게 심층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육훈련 이수시간은 전임(신임)사정관이 148.6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위촉(연임)사정관이 32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교육훈련 주제는 이론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74.2%로, 실무교육 25.8%보다 3배 정도 높았다. 교육시기별로 보면 7월부터 9월에 교육훈련 운영빈도가 55.5%로 가장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입학사정관 연차별 프로그램은 전임(신임)사정관은 대교협 연수와 내부이론교육 위주로 운영되었고, 전임(경력)사정관은 실습 위주의 교육과 전형분석 및 전형설계를 위한 교육이 추가로 진행되었다. 위촉(신임)사정관은 대교협 연수 위주로 교육이 구성되었고, 모의평가 등의 실습교육을 신임과 연임위촉사정관이 함께 받는 경우가 많았다.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사정관은 <고교교육과정 및 학생부의 이해>, <대입제도의 이해>, <입학사정관 직무윤리>, <소속대학의 전형의 이해>, <대학 및 모집단위별 인재상>을 입학사정관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기본적인 교육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심화교육과정으로 <대입전형 결과 분석(통계분석을 위한 실습)>과 <대입전형 설계>를 선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ay for enhancing the evaluation expertise of the admission officer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of universities that operate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ystem. For this study, the available data of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admission officers, which were sent from 18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selected for the project regarding contributing to high school education in 2019, were analyzed, and in-depth surveys were conducted on 10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Full-time(newcomer)officers had the largest number of hours to complete education and training with 148.6 hours, while commissioned(experienced)officers had the lowest number of education and training hours with 32 hours. When it comes to the them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theoretical education was carried out with 74.2%. Referring to the education period, 55.5%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intensively implemented from July to September. The admission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admission officer recognized several courses which are < Understanding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 < Comprehensio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 < Work Ethics of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 < Comprehension of Admission method in Affiliated University >, < The Concept of Talent of University and Each Admission Unit > as a basic essential courses for all admission officers. In addition, by means of advanced training courses, <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ractice for statistical analysis) > and < Design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 were select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5권 1호 ~ 25권 1호 |
|
39권 1호 ~ 39권 1호 |
|
18권 1호 ~ 18권 1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28권 1호 ~ 28권 1호 |
인문사회과학예술융합학회지 |
4권 2호 ~ 4권 3호 |
Korean Anthropology Review |
5권 0호 ~ 5권 0호 |
|
12권 1호 ~ 12권 1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수시연구보고서 |
2020권 3호 ~ 2020권 6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6권 1호 ~ 6권 1호 |
환경포럼 |
236권 0호 ~ 242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군사과학논집(구 공사논문집) |
71권 2호 ~ 71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입학전형연구 |
9권 0호 ~ 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