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ramatized < Masterpiece Reading > Program and Learning Effects
10.31821/HEM.90.4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각색을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사례 Ⅳ. 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Ⅴ.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각색을 활용한 대학 <명저읽기> 수업의 학습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색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2019년 2학기 J대학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 및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이 수업을 마치면서 학습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설문을 받고 시험을 본 결과 각색 활동의 학습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에서 <명저읽기> 교과목을 운영할 때 학습자들이 소설을 희곡으로 각색하는 활동을 하면 텍스트 이해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 수업 모형은 J대학교 <명저읽기> 교과목의 수업 환경을 고려해 구안한 것이지만 교실에서 소설을 읽는 수업이라면 학습효과를 낼 개연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둘째, 학습자들은 수업 중에 수행한 ‘각색하기’보다 ‘독후감 쓰기’가 명저 이해에 더 도움되었다고 설문에 답했다. 그렇지만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두 활동은 각각 나름의 학습 효과를 발현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독후감 쓰기’를 통해 텍스트를 개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각색하기’는 텍스트의 심층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되었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 명저를 읽힐 때는 ‘독후감 쓰기’와 ‘각색하기’ 활동을 병행하면서 각각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이 이 수업에서 수행한 활동 가운데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텍스트의 주제 파악을 꼽은 점은 풀어야 할 숙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명저의 이해에 초점이 맞추어진 이 과목 개설 취지와 동떨어진 설문 결과이기 때문이다. 특히 본 교수자가 텍스트의 주제를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매우 어려웠다. 이는 본 연구자의 수업 전략이 치밀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 것이기에 아쉬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수업 전략을 짤 때 과목의 학습 목표를 더욱 반영해야 하겠고, 학습자들의 텍스트 이해 능력을 감안해 토의 주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겠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arning effects of a dramatized “Masterpiece-Read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e developed a reading program using dramatization and included it in the J college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n its learn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of the program were offered. A survey of the subjects revealed that the program enhanced learning. Based on that finding, we presented the following comments and suggestions: First, this program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class environment in J university, but it should be applied as a university masterpiece reading program, dramatizing novels in the classroom to enhance learning effects. Second, the subjects responded that writing book reviews is more helpful to understanding a masterpiece than is dramatization. However, the responses indicated that both activities had their own learning effects, as indicated by the subjects' responses that writing book reviews helped them understand texts comprehensively and that dramatizing novels helped them identify the deep meaning of texts. Therefore we suggest that a university masterpiece-read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both writing book reviews and dramatization. Third,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 most difficult thing in the reading program was identifying themes in the texts they read. This finding was unfortunate, since the study included diverse learning method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extual themes, although they apparently were not effective. When the ongoing program strategy is developed, the students' learning objectives and discussion subjects should be geared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0호 ~ 52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권 0호 ~ 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0권 0호 ~ 1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5권 0호 ~ 1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0권 0호 ~ 2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5권 0호 ~ 2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30권 0호 ~ 33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