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대학 융합교육이 직면한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후,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융합교육과정과 융합방법론의 실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였고, 그 기초에서 융합교육과정과 융합방법론에 대해 융합교육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집단심층면담과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대학 인문사회 및 예술 분야에서 융합교육이 다층위적으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교육과정과 융합교육 방법론이 아직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고, 융합교육은 실용적 교육에 경도되어 있고, 서로 다른 학문의 지식들을 병렬적으로 전달하는 피상적 복합교육 형식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이처럼 융합교육은 그 취지와 목적에 맞게 경쟁력 있는 창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미래교육경쟁력을 담지하기에는 역부족한 현실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런 융합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혼합적 연구방법 통해 융합교육과정과 융합방법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로 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의 융합방법론 학습과 융합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curriculum and convergence methodology in order to find the improvement plan, after examining thoroughly problems, that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is confronted with. In order to accomplish that aim,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nalyze to precedent studies, preceded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specialist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and applied it’s results to the composition of questionnaire on convergence curriculum and convergence methodology. With this research it is notic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leans to the practical education for job or ascending course, is only superficial complex education delivering knowledges of different sciences in parallel, and thus produce not results accorded with it’s primary intent and purpose for trai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creative convergence of talent due to the lack of a practical curriculum framework, convergence curriculum and its convergence methodology. Through the empirical study grasped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methodology and mode of convergent think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ed the practical curriculum for learning of convergence methodology of educators and strengthen of their convergence competence who are engaged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UCI(KEPA)
간행물정보
: 예체능분야 > 기타(예체능)
: KCI등재
:
: 계간
: 1738-8309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3-2020
: 511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