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청소년활동 실태 조사(2016)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예술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생의 예술활동은 음악, 미술, 문학, 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자아존중감의 변인으로는 가치감, 좋은성품, 효능감, 긍정적 태도, 만족감 등이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인성계발과 진로체험 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매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서는 구조방정식의 모형을 설정한 후 리즈렐(LISREL)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인성계발 활동(t=16.23, p<.001), 진로체험(t=8.20, p<.001)이다. 다만 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인성계발 활동과 진로체험을 매개하면 자아존중감(t=7.60, p<.001)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발달에 알맞은 예술활동은 인성계발과 진로체험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예술활동은 인성계발 및 진로체험 활동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t activities and their sense of self-esteem, based on a 2016 survey on youth activitie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terms of the type of art activities, music, drawing/painting, literature, and dance were mostly examined. A sense of worth, good personality, sense of self-efficacy, positive attitude, and contentment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of self-esteem.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haracter-building activities and job experiences at grammar school on the students’ self-esteem. For analysis, we desig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used LISREL to ver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rt activities and their self-estee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direct impact of character-building activities (t=16.23, p<.001) and job experiences (t=8.20, p<.001) on the students’ self-esteem. The impact of art activities on the students’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with mediation of character-building activities and job experiences, the impact was significant (t=7.60, p<.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t activities suitable for grammar school students can be important to strengthening students’ self-esteem. Grammar school students’ a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aracter-building activities and job experiences, and on the students’ self-esteem.
UCI(KEPA)
간행물정보
: 예체능분야 > 기타(예체능)
: KCI등재
:
: 계간
: 1738-8309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3-2020
: 511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