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Materi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Historical Approach to Embodied Learning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References
본 연구는 유아교육 역사를 통해서 본 물질성에 대한 탐구로서 신유물론(New materialism)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선구자들의 철학에 드러난 물질성을 감각놀이/교육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에서 놀이와 체화된 교육의 의미를 재고찰하기 위해 역사적 관점과 통합적 문헌연구를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저자는 플라톤부터 패티 스미스 힐에 이르는 선구자들의 철학에 드러난 물질성에 대해 추적하였으며,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그 물질성이 주는 의미와 제한점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현재 교육현장에줄 수 있는 적용방안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materi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history from a new materialist perspective by reviewing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of pioneers to reveal their values toward the materiality in terms of object-based and sensory play/learning. This research employs a historical approach and provide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play and embodied learning in today’s ECE. I trace the materiality in the ECE pioneers’ philosophies from Plato to Patty Smith Hill and analyze insights from and limitations of their ideas about materiality from a new materialist perspective. I also suggest possibl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6권 1호 ~ 26권 1호 |
|
35권 1호 ~ 35권 1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2호 ~ 37권 2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69권 1호 ~ 69권 1호 |
|
72권 0호 ~ 72권 0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지리교육논집 |
62권 0호 ~ 62권 0호 |
|
39권 1호 ~ 39권 1호 |
|
15권 1호 ~ 15권 1호 |
|
13권 1호 ~ 13권 1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60권 1호 ~ 60권 1호 |
|
43권 1호 ~ 43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