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8704/kjjll.2020.12.87.35
1. 問題提起 2. 脳科学の観点からみた成人と児童の言語習得 3. 長期記憶の二タイプと言語習得への適用 4. 授業実践事例: J大学の日英マルチリンガル教授法 5. おわりに ◀参考文献▶
본고는 뇌 과학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자 특히 일어일문학을 전공하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영 멀티링구얼 교수법 개발을 J대학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朴(2015a)를 통해 한국 대학의 대다수 일어일문학 전공생들이 일본어 뿐만 아니라 영어 습득에 대한 필요성 그리고 일본어·영어 동시 교육의 교수법 개발 등을 희망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고는 이와 같은 남겨진 과제를 해결하고자 일·영 멀티링구얼 교수법 개발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먼저 뇌 과학의 관점에서 (i)성인과 아동의 L1과 L2/L3의 습득 방식은 상이하며, (ii)성인이 L2/L3을 습득 시에는 L1의 경우와는 달리 암기에 의한 서술적 기억을 필요로 하고, 성인과 아동의 L2/L3의 습득 방식은 상기와 같이 상이하므로 멀티링구얼 교수법 개발 시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또한 J대학에서의 두 유형의 일·영 멀티링구얼 교수법, 즉 (i)이머전 프로그램, (ii)의사소통중심 교수법 중심의 블렌디드 방식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는 일종의 장기연구프로젝트 형식으로 수행되고 있어 남겨진 과제가 산적해 있다. 향후에는 일·영 멀티링구얼 (i)교재 개발, (ii)문법범주별 사례 연구, (iii)교육평가, (iv)수강생의 동기화 및 탈동기화 연구 등을 중심으로 연구성과를 발신해나가겠다.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teaching method for adult learners, especially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a case study of J University. Park (2015a) indicates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strive for the necessity of acquiring both English and Japanese,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simultaneous Japanese and English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teaching methods to solve these remaining task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i) adults and children experience different learning methods for L1 and L2/L3; (ii) when adults learn L2/L3, the declarative memory is used, unlike in the case of L1. This differs in children.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multilingual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and adults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this paper introduces two types of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teaching methods: (i) an immersion program and (ii) a communicative approach-centered blending method aiming to develop and research multilingual teaching methods for adult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5권 5호 ~ 55권 5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37권 3호 ~ 37권 3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
55권 4호 ~ 55권 4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49권 0호 ~ 49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24권 2호 ~ 24권 2호 |
|
81권 0호 ~ 81권 0호 |
중한언어문화연구 |
19권 0호 ~ 19권 0호 |
|
16권 4호 ~ 16권 4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41권 0호 ~ 41권 0호 |
|
90권 0호 ~ 90권 0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
36권 3호 ~ 36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