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인구고령화 추세를 배경으로 노인들의 건강문제, 특히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사회 환경이 상대적으로 더욱 취약한 농촌 노인들의 건강은 각별히 주목되어야 할 정책적 현안이 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의거, 본 연구에서는 농촌 노인들의 신체건강, 우울의 영향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차원적 건강의 측면에서 농촌 노인들의 건강 양상을 새롭게 파악하고, 이들 건강 영역간 관계에 미치는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농촌 노인의 객관적 및 주관적 신체건강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 노인들에서도 노화에 따른 신체건강 쇠락은 우울을 심화시키는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절효과 모델의 분석결과에서는 농촌 노인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사회활동은 신체 질환의 우울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는 농촌 노인들의 건강 다양성이 사회활동 참여에 근거하며, 사회활동 참여는 농촌 노인의 건강영역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개선함에 중요한 측면임을 시사하여 준다. 이에 따라 농촌 노인의 전체적인 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보건의료적 접근 뿐 아니라 사회활동 프로그램의 적극적 개발 및 실행이 요청됨을 본 연구결과는 정책적 함의로 환기하여 준다.
Policy and academic attentions to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rapid demographic aging in Korea. But, there has been insufficient of researches on the health of the rural elderly,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 group, especi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health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this study analyses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health, depressions, and social activities among the rural elderly. Especially,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ies. Data used in the analyses come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gression model analyses we found out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physical health and social activities on the depression. Second,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are found out to moderate the effect of the objective physical health(chronic disease) on the depres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re actively correlated over the aging and various health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come from the moderating roles of the social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 such that the expansion of social activity programs are required so as to improve the multi-dimensional health and welfare of the rural elderly.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행정학
: KCI등재
:
: 계간
: 1738-7779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85-2020
: 1096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