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ends in Naong’s Gasa (歌辭) and the Cultural Meaning of the Intergradation of Lyrics
1. 서론 2. 조선 후기 사찰 구성원의 나옹화상 인식 3. 나옹가사 사설의 변이 양상 4. 나옹가사 전승의 문화사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본 논문은 18-20세기 나옹이 창작한 것으로 기록된 가사 사설을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는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18-20세기에는 <서왕가>를 비롯하여 나옹화상이 창작한 것으로 기록된 가사 사설들이 유행하였다. 나옹화상이 14세기 인물이기 때문에 수세기가 지난 시점에 나옹화상의 가사가 유행하였다는 것은 상당히 주목해 볼 만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사설들이 실제로 유행한 18-20세기를 주목하고, 이 시기 나옹가사 사설의 변이와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논의에서는 조선 후기 사찰 구성원들이 나옹화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옹가사 사설의 변이 양상을 살폈다. 결국, 이러한 나옹가사의 유행과 전승은 18-20세기 나옹가사의 전승과 유행은 당대 사찰 구성원들의 고민과 의지가 담긴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나옹화상의 이름을 빌은 것은 전대부터 이어져왔던 가송과 관련한 나옹화상의 위상은 물론, 급변하는 사회에서 불교가 요구받았던 사회적인 역할과 활로에 대한 고민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lyrics recognized as created by Naong (懶翁) and reveal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he lyrics recognized as created by Naong (懶翁), such as < Seowang-ga (西往歌) >, < Sungwean-ga (僧元歌) >, and < Sudo-ga (修道歌) >, were renowned in the late Choseon dynasty. However, I think that these lyrics were not created by Naong. Therefore, I aimed to determine why these lyrics were famou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o achieve this purpose, I paid attention to the recognition of Temple people about Naong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Naong lyrics over time. By analyzing the lyrics, I derived the cultural meaning reflected about the motions of Buddhism’s school ties establishment and effort toward popularization. These lyrics implied the Temple momber’s active response to the changing time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0호 ~ 52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권 0호 ~ 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0권 0호 ~ 1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5권 0호 ~ 1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0권 0호 ~ 2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5권 0호 ~ 2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30권 0호 ~ 33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