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ocality and Narrative Literary Strategy of the Journal Nakdong Social Association made by Korean Students from Yeongnam Studying in Japan
1. 서론 2. 낙동친목회의 ‘지역성’에 대한 고민과 성찰 3. 『낙동친목회학보』의 편집적 특징과 구성 4. 서사물의 활용과 조선청년의 시대 인식 5. 결론 참고문헌
낙동친목회는 경상도 지역 출신의 일본 유학생들이 1905년 겨울에 설립한 학회로, 1907년 10월 30일에 학회지인 『낙동친목회학보』를 편찬하였다. 매달 1호씩 발간하여 1908년 1월 30일까지 총 4호를 발간하였고, 이후 대한학회로 통합되었다. 낙동친목회는 지역 출신들끼리 학문을 도모하며, 서로 어려울 때 도와주는 모임으로 결성되었다. 특히 출신 지역인 영남 지역이 구습만 좇는 몽매한 상황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학문과 산업을 교육하고 육성하는 것만이 나라가 부강해지고 독립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교사양성을 주장하면서 영남 지역에서 우수한 자를 후원하여 유학을 보낸 후, 졸업한 다음에는 다시 지역의 교사로 돌아와 학생들을 교육하는 선순환적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낙동친목회의 지역 운동은 대화체, 몽유록계 서사류 등에서도 전략적으로 활용되었고, 결국 이러한 출신 지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성’에 대한 개념과 지역 문학이 형성되었다.
The Nakdong Social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e winter of 1905 by Japanese students from the Gyeongsang-do region, and on October 30, 1907, the journal Nakdong Social Association was compiled. After that, one issue was published every month, and a total of 4 issues were published until January 30, 1908, and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Korean Society and absorbed into the integrated international student society. Since only 4 issues have been published, Nakdong Social Society Journal of Social Affairs has hardly been studied, but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concerns and reflections of people from each region, along with their perception of their region. In particular, the members of the Nakdong Social Society were formed as a strong gathering to help each other in difficult times while promoting studies among local people. At the same time,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ey went to the Yeongnam area, where they came from, and conducted a campaign to encourage them to study abroad through speeche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nd investing in education. Also, achievements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se practical movements. Most of all, they criticize the ignorant situation in which the Yeongnam region rejects the idea of a gentleman while pursuing old school and old customs, stressing many times that educating and nurturing new academics and new industries is the only way for the country to become rich and independent. He also supported and supported outstanding people in the Yeongnam area, and after graduation, he returned to the area as a teacher to educate the local virtuous cycle campaign to educate local people. The regional movement of Nakdong Social Society is also strategically used in the narratives.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 dialogue and the narratives of the Monlyu, young people lived in Choseon expressed their path, responsibilities, duties, and expectations. In the end, various concepts of "Locality" were formed as they recognized these regions of origin in detail, and among them, local culture and local-based literature were slowly being ingest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0호 ~ 52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권 0호 ~ 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0권 0호 ~ 1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5권 0호 ~ 1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0권 0호 ~ 2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5권 0호 ~ 2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30권 0호 ~ 33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