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와 분석 틀 Ⅳ. 연구 방법 Ⅴ. 결과 분석 Ⅵ. KFCC 설립과 고려해야 할 사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비영리단체로서 공익을 위해 활동하는 조직이라고 받아들여지는 NGO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조직간 이득을 둘러싼 제로섬적 권력정치 양상이 지양되고, 모두가 이득을 보는 비제로섬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배치되는 결과를 보이는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국제환경 분야에서 산림인증(forest certification) 제도와 관련하여 주요한 두 NGO인 ‘국제 산림관리 협의회(Forest Stewardship Council, FSC)’와 ‘국제 산림인증 승인 프로그램(Programme for the Endorsement of Forest Certification schemes, PEFC)’이 등장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SFM) 목표를 이루기 위해, 기업에 유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발적 거래를 유도하는 비정부 시장기반(Non-State Market Driven, NSMD) 거버넌스 영역에서 산림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국제적 인증 주도권을 쥐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모습에 주목하였다. 특히 질적 연구 차원의 단일사례연구를 통해서 산림인증 서비스 제공 경쟁이 제로섬적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사회론과 조직간 관계이론의 이론적 기초하에서 조직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동이 역기능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차원에서 역기능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후발로 등장한 한국의 인증제도인 한국산림인증제도(Korea Forest Certification Council, KFCC)가 고려해야 할 사안이 무엇인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