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unite Two Divided Koreas with the Peace of Jesus Christ
1. ‘영·끌’ 사회 2. 개혁신학에 묻는다 3. 하나님의 의 4. 의와 사랑의 만남 5. 두 시선 6. 디아코니아 7. 그 평화 샬롬 8. 맺는말 - 이웃을 위한 삶 참 고 문 헌
글은 독일통일 30주년을 맞아 분단 75주년을 맞는 한국교회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다룬다. 독일은 통일로 국제 사회에서 모범국가로 평가받는 나라가 되었다. 역으로 세계의 유일한 분단국 한국은 많은 점에서 힘들어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북한을 향한 두 시선으로 향방을 잃은 채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기는 고사하고 위기를 만나 표류하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한국교회는 남북통일을 위한 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먼저 한국교회는 개혁신학(The Reformed Thology)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분단 시대 독일교회의 역사적 지혜 디아코니아를 가져오기를 소망한다. 아울러 남북의 끝없는 긴장과 갈등을 끝내기 위해 한국교회는 평화의 왕 예수님의 평화를 분명히 인식하고, 갈등의 땅 한반도에서 평화의 사도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겠다.
The following essay aims to do for the next step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n church, in light of the 30th anniversary of Germany’s reunification. Germany is seen as a global model for reunification. On the contrary, the Koreas remain the only nations who continue to struggle. Instead of fulfilling its calling to be “salt and light” of the south Korean Church to its North Korean neighbor. How can the South Korean church play its integral part in seeing reunification? I suggest that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first firmly grab hold of Reformed Theology, and second, emulate the German church’s diakonia in its historical efforts in reunifying its country. Additionally, to bring an end to endless nervousness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recognize Jesus, who is the Prince of Peace, and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become the ambassador of peace for both nation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3권 0호 ~ 53권 0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활천 |
809권 4호 ~ 809권 4호 |
성결교회와 신학 |
44권 0호 ~ 44권 0호 |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
23권 0호 ~ 2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종교학연구 |
38권 0호 ~ 38권 0호 |
장로교회와 신학 |
16권 0호 ~ 16권 0호 |
|
31권 1호 ~ 31권 1호 |
|
97권 0호 ~ 97권 0호 |
활천 |
808권 3호 ~ 808권 3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백련불교논집 |
1권 0호 ~ 9권 0호 |
퇴옹학보 |
17권 0호 ~ 17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