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hristian Counseling on Anger Toward God
Ⅰ. 여는 글 Ⅱ. 펴는 글 Ⅲ. 닫는 글 【참고문헌】
고통에 처한 그리스도인에게 하나님을 향한 분노는 종종 발견되는 현상이나, 분노를 표현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에게 하나님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는 것은 믿음이 없거나 영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을 향한 분노가 미해결 될 때, 사람들은 영적·심리적·신체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를 중시하는 기독교 전통에서 분노는 하나님과의 진실한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은 Mark P. Cosgrove, Andrew D. Lester, Robert D. Jones과 David Powlison 간에 하나님을 향한 분노에 대한 이견을 다루고 있으며 이들의 입장을 기술, 비교하여 기독교 상담자들이 분노하는 내담자를 어떻게 돌보야 할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되었다. 기술한 학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기독교 상담자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로 ‘죄인으로서 인간’, ‘고난의 재구성’을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죄인인 내담자의 분노가 애통의 마음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내담자가 고난의 의미를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나님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념과 동기를 내려놓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가 가진 한계를 기술하였고 구체적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를 제안하였다.
For Christians in suffering, anger toward God is often a phenomenon that is found, bu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ngry. That is because it appears to be faithless or spiritually immature. However, when anger toward God is unresolved, it affects a person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In particular,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is important in the Christian tradition. Unless the anger toward God is resolv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true communication with God. But there is a disagreement in view of anger toward God in Christian Counseling. This paper deals with different opinions on anger toward God in Mark P. Cosgrove, Andrew D. Lester, Robert D. Jones, and David Powlison, and describes and compares their opinions to see how Christian counselors should care for angry clients. Based on the opinions of scholars, “human as a sinner” and “reframing of suffering” were derived as important topics that Christian counselors should consider. A Counselor should help the anger of a sinner client to be expressed with mourning. In addition, a counselor needs to help a client put down the beliefs and motivations that are more important than God in order to reframe the meaning of suffering. Lastly, it is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is discussion and suggested case studies for specific application.
I410-ECN-0102-2021-200-00123735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3권 0호 ~ 53권 0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활천 |
809권 4호 ~ 809권 4호 |
성결교회와 신학 |
44권 0호 ~ 44권 0호 |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
23권 0호 ~ 2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종교학연구 |
38권 0호 ~ 38권 0호 |
장로교회와 신학 |
16권 0호 ~ 16권 0호 |
|
31권 1호 ~ 31권 1호 |
|
97권 0호 ~ 97권 0호 |
활천 |
808권 3호 ~ 808권 3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백련불교논집 |
1권 0호 ~ 9권 0호 |
퇴옹학보 |
17권 0호 ~ 17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