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al Justice and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Focused on the Recovery of a Narrative
Ⅰ. 여는 글 Ⅱ. 펴는 글 Ⅲ. 닫는 글 【참고문헌】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목회상담자들에게 코로나 19가 발생한 이후 청년들의 실업 실태를 이해하고, 청년들의 개별적 내러티브를 경청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 관점에서의 내러티브 공유와 소통의 중요성을 알리려는 것이다. 구직의 어려움에 처한 청년들은 이야기하는 존재로서 자신의 내러티브를 진솔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하고, 상담자들은 공감적 경청으로 그들을 환대함으로써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는 힘의 균형 곧 공의와 평안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 청년들이 느끼는 실업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심각한 문제로서, 자칫 경력뿐 아니라 삶의 연속성을 위해 중요한 이야기의 단절을 가져오고, 청년들의 생명마저 위협할 수 있다. 기독교·목회 상담자들은 실업으로 배제되고 특권이 철수된 청년들의 내러티브를 면밀하게 경청함으로 변형된 내러티브와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내러티브는 공동체 형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도덕적 가치를 공유한다. 성경이 말하는 정의는 곧 샬롬 공동체의 기반이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나님의 구속 내러티브에 근거한 나눔의 형식이다. 기독교·목회상담자는 그리스도 구속의 복음에 근거한 비판적 사회 분석을 통해 정의를 추구하고, 배제와 압제를 경험하는 청년들의 서사성을 하나님의 내러티브와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r Christian or pastoral counselors to pay attention to the high rate of unemployment of young adults amidst the COVID-19 pandemic, and to listen to their individual narratives from the point of social community. Young adults without jobs or in danger of losing them are supposed to speak out candidly about their stories, and the counselors are expected to listen to them with empathy. Unemployment of young adults threatens a continuation of their future life stories. A Christian or pastoral counselor may provide inspiration that young adults desperately need beyond material profits. A narrative as a story-telling has closely to do with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as well as its moral values. Justice is the basis of the shalom community that the Israelites in the Bible dreamed of from ancient times. The story of exodus, for example, has formed God’s big narrative of redemption, and influenced the practice of mercy for poor people e.g., widows or orphans. The peaceful community is composed both of the big narrative of God’s redemption and of the individual narratives of practice. As Couture points out, a Christian or pastoral counselor must become familiar with empathic rhetoric so that individual care and social justice can be served for the socially isolated like the young ones of the time.
I410-ECN-0102-2021-200-00123734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3권 0호 ~ 53권 0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활천 |
809권 4호 ~ 809권 4호 |
성결교회와 신학 |
44권 0호 ~ 44권 0호 |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
23권 0호 ~ 2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종교학연구 |
38권 0호 ~ 38권 0호 |
장로교회와 신학 |
16권 0호 ~ 16권 0호 |
|
31권 1호 ~ 31권 1호 |
|
97권 0호 ~ 97권 0호 |
활천 |
808권 3호 ~ 808권 3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백련불교논집 |
1권 0호 ~ 9권 0호 |
퇴옹학보 |
17권 0호 ~ 17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