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제라르 쥬네트가 그의 작품Seuils에서 분석한 서문의 몇몇 기능 사례들을 참조하여, 보마르셰가 『피가로의 결혼』의 서문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데 있다. 그중 “비판에 대한 대답”으로서의 기능은 이 극 작품 서문의 본질을 이루며, 보마르셰가 프랑스 연극의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실천된다. 이 실천은 전통이란 이름으로 프랑스 연극을 가둬놓은 “예의범절”이란 규범에 대한 고발이며, 새 시대에 맞는 변화된 연극을 주창하는 이 극작가의 바람과 맞닿는다. 얀켈레비치적인 아이러니한 도덕과 디드로가 말하는 자연 도덕에 의해 공격을 받는 시대의도덕성은 그렇게 공신력을 잃게 될 위기에 처하고, 시대를 공격하는 그의 대범함, 이러한 용기 덕에 꾸며진 극의 ‘자극성’으로 극의 웃음과 “흥겨움”이 확보된다. 여기에 보마르셰는 관객의 일상적인 삶에 익숙한 세계를 연극의 새로운 정체성으로 삼으며 드라마란 장르를 역설한다. 새로움으로 인한 그 낯섦으로 시대가 저어했지만, 보마르셰는 디드로가 그러하였듯 이 후대의 인정(認定)에 드라마의 연착륙을 기대한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공식적으로 작가의 변론과 생각을 담아낼수 있는 『피가로의 결혼』의 서문은 작가 자신의 남다른 두각을 보이고 극작법 영역에 변혁을 주문하는 탁월한 전략적 장소가 되고 있다.
Notre article a pour but d’étudier, en reposant sur les fonctions de la préface que Gérard Genette a analysées et théorisées dans son oeuvre intitulée Seuils, ce que Beaumarchais a voulu parler dans la Préface du Mariage de Figaro. Parmi elles, nous faisons appel surtout à la fonction, “la réponse aux critiques” car c’est exactement l’essentiel de la préface de cette oeuvre. Certes, Beaumarchais y fait la guerre aux adversaires dans le champ de la dramaturgie. D’abord, il conteste “la décence théâtrale” qui devrait empêcher les dramaturges d’y créer la nouveauté et la différence. Sur les accusations d’immoralité, il démontre “la pureté de ses intentions”54). Selon notre point de vue, la morale naturelle et la morale ironique en sont l’argument. En se défendant d’une façon magistrale, notre dramaturge, suivant Diderot, se pose en défenseur du drame et théorise sur les voies que devrait suivre le théâtre français. Ainsi en tant qu’homme de théâtre, Beaumarchais utilise la préface pour constituer un lieu stratégique au plus haut point où il établit un état des lieux du théâtre français et à la fois ouvre la voie de dramaturgie à toutes les formes d’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