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n Internship Program for Novice Play Therapists through Connections with Child Care Centers - With a special focus on changes within the play therapists, infants, and parents involved -
10.17641/KAPT.23.4.2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본 연구는 보육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초보 놀이치료자 인턴십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으며 놀이치료자, 유아, 부모의 변화를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집단에 해당하는 놀이치료자는 대학과 연계된 보육 기관으로 파견되어 놀이치료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놀이치료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측정하기 위해 맨 휘트니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놀이치료자, 유아, 부모 각각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윌콕슨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초보 놀이치료자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전체 평균 점수 및 하위영역 점수에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이후 유아의 기관 생활 적응 전체 평균 점수에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이후 유아-부모의 조화 적합성 전체 평균 점수에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과 보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초보 놀이치료자의 효능감 증진을 돕는 임상 경험 및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동시에 내담 유아의 기관적응 및 부모-자녀 간 조화 적합성 증진을 도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nship program for novice play therapists in connection with child care centers. To this end, relevant changes which had occurred were examined, centering on the play therapists, infants, and parents involved. The Mann Whitney and Wilcoxon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both the pre-identities and changes by group.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verage score and sub-domain score of the counselor's activity self-efficacy in terms of the novice play therapis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verage score of the preschool Adjustment of infants. Third, a significant change was verified in the average score of parent-child goodness of fi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kind of training which can best help novice play therapists improve their efficac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13권 2호 ~ 13권 2호 |
|
24권 0호 ~ 24권 0호 |
|
23권 2호 ~ 23권 2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
21권 3호 ~ 21권 3호 |
|
11권 2호 ~ 12권 2호 |
|
10권 1호 ~ 11권 1호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4권 0호 ~ 4권 0호 |
|
7권 2호 ~ 9권 2호 |
|
5권 1호 ~ 7권 1호 |
|
2권 2호 ~ 4권 2호 |
|
1권 1호 ~ 2권 1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1권 0호 ~ 3권 0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심성연구 |
35권 1호 ~ 35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