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학적 창의성을 ‘관습에 대한 영향과 모방을 바탕으로 문학이라는 상징영역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문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로 문학적 지식 및 관습, 작품을 창작하는 저자, 작품을 해석하는 독자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문학적 창의성이란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를 시문학사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독창적 개인으로서의 저자가 전대에 크게 유행했던 이미지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 실현의 방법으로 첫째, 이미지의 패러디, 둘째 이미지에 새로운 의미 부여, 셋째, 새로운 이미지 제시 이렇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상투성의 극복을 반복하면서 공동체 내에서 이미지의 상징성은 깊고 풍요로워진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고, 창의성이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임을 규명하여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창의성이 관습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통해서 창의성 교육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지식 교육과 연계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 논의에서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This study defines literary creativity as a process of changing literary culture based on influence and imitation of customs and propose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 author, and the reader as components of literary creativity. Literary creativity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accepting works by authors and readers with understandings of literary culture and tradi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ree methods of realizing creativity by analyzing works that overcame the cliché of widely used images. The methods are parody of images, giving new meanings to images and presenting new images. Through these methods, images of the poems may not be stereotyped.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embodies how to present unique ideas, emphasizes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by showing that creativity is an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links creativity education to existing education through the fact that creativity requires understanding of customs and emphasizes the role of readers in the discussion of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