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Context of Works of ‘Honamga’ Style Poetry and Excavation Review of ‘Honam Region Praise Poems (湖南地方讚揚詩)’
Ⅰ. 머리말 Ⅱ. <호남가>류의 계보와 전승 맥락 Ⅲ. 새로운 근대가사 <호남지방찬양 시>의 발굴 검토 Ⅳ. 맺음말 : 자료적 가치와 함께
이 논문은 새로운 <호남가>류 시가 작품인 <호남지방찬양시(湖南地方讚揚詩)>를 발굴하여 분석하였다. <호남지방찬양시>는 선문대 구사회 교수가 소장하고 있는 만재(晩齋) 주원택(朱元澤)이 편찬한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라는 자료집에서 나왔다. <호남지방찬양시>는 일종의 <호남가>류 지명가사이며 1960년대에 만재 주원택이 정리한 근대가사이다. <호남지방찬양시>는 지명을 활용하여 호남의 아름다운 경관과 풍습을 노래한 <호남가>류 시가 작품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 <호남지방찬양시>는 근대 이전에 우리나라 각 지방의 지명을 엮어서 시적 의미 구조를 형성하는 지명시가 작품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남가>류 시가 작품은 한시 양식의 <호남시>가 먼저 나왔고, 이어서 지명가사인 <호남가>가 나왔다. 지명한시는 18세기 전기에 죽봉(竹峰) 고용즙(高用楫, 1672~1735)의 <남정부(南征賦)>에서 단서를 보였고, 이어서 <호남시>가 나타났다. 이어서 출현한 지명가사인 <호남가>가 널리 유포되었는데, 신재효가 가사를 판소리 단가로 새롭게 개작하였다. 오늘날 <호남가>는 가사보다도 판소리 단가 위주로 전승되었다. <호남지방찬양시>는 판소리 단가인 신재효의 <호남가>를 바탕으로 삼아 상호텍스트하여 그것의 어구와 표현 기법을 따르고 있다. 이 작품은 조선후기 전라 감영에 소속된 53개 지명을 이중자의(二重字義)의 중의적 표현을 통하여 호남의 아름다운 경관과 순박한 풍습을 찬양하고 있다. <호남지방찬양시>를 통해서 조선후기 이래로 <호남가>류 시가작품이 꾸준히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근대시기에 이르기까지 새롭게 창작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excavation and analysis of new works of ‘Honamga’ style poetry, ‘Honam Region Praise Poems’. 'Honam Region Praise Poems' are place name poetry in the style of 'Honamga' from a reference book, “Geumsugangsan (picturesque rivers and mountains) Sightseeing Records (錦繡江山遊覽記)” owned by professor Ku Sa-hoe at SunMoon University and edited by Manjae(晩齋) Ju Won-taek(朱元澤). ‘Honam Region Praise Poems’ are works of modern poetry organized by Manjae Ju Won-taek in the 1960s. 'Honam Region Praise Poems' are deeply related to the 'Honamga' style poetry works that sing about the beautiful scenery and customs of Honam using place names. This is because 'Honam Region Praise Poems' inherited the place name poetry works that formed a poetic semantic structure by weaving place names of each region in Korea before modern times. In the ‘Honamga’ style poetry works that sing the beautiful scenery and customs of the Honam regions,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Honam poems’ came first, followed by the place name gasa (poetry), ‘Honamga’. The place name classical Chinese poetry showed a clue in 'Namjeongbu(南征賦)' of Jukbong (竹峰) Ko Yong-jeup (高用楫, 1672~1735) in the early 18th century, followed by 'Honam poems'. Subsequently, the place name gasa, ‘Honamga’ was widely circulated, and Shin Jae-hyo newly adapted gasa into Pansori Danga. Today, ‘Honamga’ has been handed down mainly to Pansori Danga rather than gasa. ‘Honam Region Praise Poems’ were intertexted based on Shin Jae-hyo’s ‘Honamga’, a Pansori Danga, and followed its phraseology and expression techniques. These works praised the beautiful scenery and simple customs of Honam through the rhetoric expression of double meaning (二重字義) with 53 place names belonging to Jeolla Gamyeong in late Joseon.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Honam Region Praise Poems', since late Joseon, 'Honamga' style poetry works have been steadily loved by people, and that some works were newly created until the modern perio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0호 ~ 52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권 0호 ~ 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0권 0호 ~ 1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5권 0호 ~ 1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0권 0호 ~ 2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5권 0호 ~ 2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30권 0호 ~ 33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