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imagery patterns and its meaning in JungJae, Ryu Chi-Myeong's 『Kwanseo Yurok』 official records - Focusing on Border transgression and the land system
Ⅰ. 머리말 Ⅱ. 『관서유록』의 筆記雜錄化 양상 Ⅲ. 『관서유록』의 내용적 특징 Ⅳ. 맺음말
정재 류치명의 『관서유록』은 19세기 유록 기술방식에서 筆記雜錄化 樣相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방식을 바탕으로 관서지역을 다스리는 현직 관리로서의 治定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하였다. 『관서유록』에서 보여주는 현실인식은 류치명의 관인으로서 삶을 이해하는 주요 특징이 된다. 먼저, 『관서유록』에서는 ‘범월’의 심각성과 기자조선의 역사적 내력, 그리고 인물에 대한 감회를 함께 서술하였다. 당시 류치명은 청나라 사람들의 빈번했던 ‘범월’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19세기 ‘범월’의 구체적 사례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생계를 위해 ‘범월’이라는 범법행위를 자행 할 수 밖에 없었던 관서지역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목격하고 걱정도 하지만 위정자의 입장에서 지엄한 국법의 엄중함도 지켜야하는 딜레마 속에서 고민도 하였다. 한편, 『관서유록』에서는 ‘기자정전’, ‘천맥법’, ‘균전’ 등의 ‘전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심을 보였다. 이것은 관서지역을 다스리는 관인으로서의 현실인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특히, 류치명은 평안도에서 그 유래를 살필 수 있는 ‘箕子井田’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긍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이것은 현 실정과 맞물려 관서지역 토지제도의 한계점과 조세부담등으로 인한 백성들의 궁핍한 삶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희망을 ‘기자정전’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다. 『관서유록』에서 보이는 ‘범월’과 ‘전제’는 백성들의 삶의 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가지 문제는 『관서유록』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특징적인 면면이라는 점 외에도, 오늘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사회 제도적인 측면에서 한번 쯤은 고민해볼 문제가 아닌가 한다.
Jeong Jae Ryu Chi-myeong's 『Kanseo Yurok』 showed the style of writing miscellaneous recording at the 19th century‘s Yurok writing method, and based on this writing method, he freely expressed his thoughts on politics as an incumbent official who governs the Kanseo area. The perception of reality shown in 『Kanseo Yurok』 becom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Ryu Chi-myeong's life as a official. First, in 『Kanseo Yurok』 the seriousness of ‘Border transgression’,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Gija Joseon, and the impression of the character were described together. At that time, Ryu Chi-myeong announced the seriousness of the frequent ‘Border transgression’ of the Qing Dynasty people, and in the process, showed a concrete example of the 19th century ‘Border transgression’. At the same time, he witnessed and worried about the hard life of the people in the Kwanseo area, who had no choice but to commit a crime called ‘Border transgression’ for a living, but also worried amid the dilemma of having to keep the strictness of the strict national law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gistrate. Meanwhile, Kanseo Yurok showed various interests in the land system such as ‘Gija-Jeongjeon’, ‘Cheonmaek-method’ and ‘Gyunjeon’. It revealed reality perception as an official governing the Kwanseo area in detail. In particular, Ryu Chi-myeong showed interest in ‘Gija-Jeongjeon’, which can examine its origins in Pyeongan Island, and has a positive perception. This,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tried to find hope in the ‘Gija-Jeongjeon’ to solve the poor lives of the peopl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land system in the Kwanseo area and the burden of taxes. The ‘Border transgression’ and ‘the land system’ seen in 『Kanseo Yurok』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s living base. These two problems are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shown in 『Kanseo Yurok』 and also we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consider that at least once in terms of social system.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0호 ~ 52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권 0호 ~ 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0권 0호 ~ 1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15권 0호 ~ 1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0권 0호 ~ 24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25권 0호 ~ 29권 0호 |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
30권 0호 ~ 33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