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boy New Womanhood in 1930s China Yuan Meiyun-style Womanhood Yuan Meiyun’s Stardom Conclusion REFERENCES
This article explores Tomboy (Huashen guniang 化身姑娘, 1936), arguably one of the most viewed films in China in the mid-1930s, and Yuan Meiyun’s 袁美雲 (1917-1999) stardom in prewar Shanghai. Tomboy’s popularity was a testimony to the rise of female stardom and female fandom in this decade. The 1930s also saw both the final triumph of the rally for women’s rights since the May Fourth period and the Nationalist Party’s pro-family, anti-woman backlash. Tomboy catapulted Yuan Meiyun to superstardom in the context of the cacophonous debates on new femininity in China in the relatively conservative mid-1930s. This article thus argues that because Yuan Meiyun exemplified a new type of woman who was modern, attractive, and independent but exempted herself from modern life’s vices and hedonism, her eclectic womanhood both on the screen and in the media narrative gained widespread acclaim and thereby contributed to her success as a film star.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2권 3호 ~ 22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9권 3호 ~ 9권 3호 |
|
54권 4호 ~ 54권 4호 |
|
25권 0호 ~ 25권 0호 |
|
32권 4호 ~ 32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Acta Via Serica |
5권 2호 ~ 5권 2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8권 4호 ~ 8권 4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Acta Via Serica |
1권 0호 ~ 5권 1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30권 3호 ~ 30권 3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20권 2호 ~ 20권 2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