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ggestion on the Design Direction to Improve Traffic Safety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 Focusing on the Gyeonggi-do Cases
1. 서론 2. 어린이보호구역 현황 3.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례 분석 4.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 질 어린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국가, 사회적 차원의 관심과 대책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1995년 도로교통법을 개정하여 초등학교 등의 주변도로 중 일정구간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다양한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 사망, 상해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법규, 교통사고 현황 등의 이론고찰과 경기도내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사례분석 등을 통하여 현재 어린이보호구역의 주요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2019년 완료된 경기도내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주요문제점과 개선사례의 시사점을 통해 어린이보호구역의 교통안전 개선을 위해서는 안전한 보행공간 확보를 위한 보‧차도의 분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개별시설물의 설치만이 아닌 차량의 속도를 근원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교통정온화 등의 근본적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어린이보호구역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과 근본적인 주‧정차 방지 방안이 필요함을 주요 디자인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Children,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ur society, needed attention and measures of national and social levels of children’s safety since they are immature physically and mentally. According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various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revised the Road Traffic Act in 1995 to reduce traffic accidents for children, and designated the roads around elementary schools and other areas as children's protection zone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of the improvement of national and social levels, child deaths and injury 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In this study, the main problems of the current children’s protection zones were derived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laws, regulations and traffic accident cases of children’s protection zones in Gyeonggi-do. In addition,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gi-do, which was completed in 2019, the practical design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hildren traffic safety in the future were founded. In order to improve traffic safety in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eparate the sidewalks and car roads to secure a safe walking space, and to design as space perspective such as traffic calming that can fundamentally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not just the installation of each facilities. And, it was suggested that a design plan that can clearly recognize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s and a basic parking/stopping prevention plan was needed as the main design direc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기초조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1호 ~ 2020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63권 0호 ~ 63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도예연구 |
29권 0호 ~ 29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21권 5호 ~ 21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20권 3호 ~ 20권 3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