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llustrations on Cultural Products Reflecting the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1. Introduction 2. Discussion on the Joseon period’s culture 3. Illustrated expressions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Joseon period 4. Expression type in cultural product illustrations 5. Conclusion References
조선 시대의 조형예술을 전달하는 문화상품은 문화와 상품을 결합하면서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문화를 보급한다. 문화상품은 전통문화유산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기때문에 문화상품의 표현개발은 곧 전통문화유산의 계승과 보급을 의미한다. 또한,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은 문화상품을 통하여 일상 속에서 문화의 정체성과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선 시대의 문화를 반영한 문화상품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을 분석하고 전통문화의 현대적인 재해석과 표현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연구범위는 현대 문화의 원형이 확립된 조선 시대 문화로 한정 짓고, 문구류와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문화의 표현이 시각적으로 잘 반영된 문화상품을 선정하였다. 2장의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3장은 궁궐문화와 복식문화, 전통 관습과 의례문화, 문화상품의 현대적인 재해석 표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4장은 문화상품에 표현된 일러스트레이션의 5가지 표현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통 회화와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재현한 표현, 둘째, 비트맵의 드로잉 소프트웨어로 표현한 사실적인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셋째, 플랫 일러스트와 조형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표현한 벡터 일러스트레이션, 넷째,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과 수작업 기법까지 포함한 핸드 드로잉 콘셉트의 표현, 다섯째, 전통 회화와 문화를 바탕으로 고유한 가치와 의미를 현대적인 콘셉트로 재해석한 리디자인 표현이다. 분석결과, 전통 회화의 이미지를 재현시킨 상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수작업 콘셉트로 표현한 한국적인 이미지와 리디자인 일러스트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또한 역사적 지식과 문화적 해석력을 기반으로 표현한 전통의 현대적인 재해석은 부족함이 많았다. 문화상품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문화의 상징적인 의미를 고찰하면 더욱 깊이 있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전통적인 이미지와 문양을 단편적으로 차용(借用)하고 재현(再現)하는 것이 아닌 심층적인 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표현기법에 따른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만큼, 한국적인 이미지를 조화롭게 리디자인할 수 있는 표현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문화상품의 현시점과 방향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인 문화상품’은 ‘전통적인 이미지 표현’이라는 전형적이고 획일적인 표현의 한계성을 탈피하기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Cultural products that convey the formative arts of the Joseon period have combined culture and products to spread culture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 present and future. Furthermore, modern illustrations can convey cultural identity and symbolic meaning through cultural products in everyday life. This study explored modern re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plans for traditional culture by analyzing the expression of cultural product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This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e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in which the prototype of modern culture was established. The cultural products that visually reflect the expressions of the culture were selected with a focus on stationery or household good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literature analysis in Chapter 2, Chapter 3 analyzes the modern reinterpretation expressions of cultural products, palace and costume culture, and traditional customs and ritual culture. Through this approach, Chapter 4 derives five concepts regarding the illustration expression types: First, reproduc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into cultural products; second, realistic digital illustrations expressed through bitmap drawing software; third, planar flat illustrations, and vector illustrations expressed in a formative and simple form; fourth, the expression of hand-drawn concepts including digital illustrations with hand-drawn concepts and manual techniques; and fifth, redesigned illustration expression of unique values and meanings of traditional culture and paintings with modern reinterpret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ltural products that reproduce the images of traditional paintings were found to be prevalent, while only a few expressions modernly reinterpreted Korean images based on historical knowledge and cultural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raditional images and pattern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ulture rather than borrowing and reproducing traditional images and patterns in a monotonous way. Furthermor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nabling of various expressions according to expression techniqu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xpressions that can harmoniously redesign Korean ima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ough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illustrations that can escape the limitations of typical and uniform expression stereotyping that “Korean cultural products” just provide “traditional expression of imag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rection of cultural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기초조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1호 ~ 2020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63권 0호 ~ 63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도예연구 |
29권 0호 ~ 29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21권 5호 ~ 21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20권 3호 ~ 20권 3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