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dustry-Level Mismatch Unemployment in Korea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론 Ⅳ. 분석 자료 Ⅴ. 분석 결과 Ⅵ. 결 론 참 고 문 헌 [부록 1] 미스매치 지수의 도출과정 [부록 2] 실업자 및 빈 일자리의 산업분포
본 연구는 Sahin et al.(2014)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2013∼2018년 동안 증가한 실업률(0.75%p) 중 산업 미스매치 실업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을 수량화하였다. 산업 미스매치 실업이란 임금 경직성, 정보의 부족, 기술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산업 간 구직자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실업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2013∼2018년 동안 증가한 실업률의 약 23.6%는 산업 미스매치 실업으로 설명되었다.
This study quantifies the contribution of the industry-level mismatch unemployment to th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during 2013-2018 (0.75%p) by using Sahin et al. (2014)’s methodology. Industry-level mismatch unemployment refers to the unemployment that occurs when job seekers’ movements across industries are hampered by labor market frictions such as wage rigidity, lack of information, skill mismatch,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industry-level mismatch accounts for 23.6% of the observed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during 2013-201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열린충남 |
91권 0호 ~ 91권 0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한국경제의 분석 |
26권 3호 ~ 26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해양한국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