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초임기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세계시민 교육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현장 경력 2년 미만의 유치원교사 총 13명이며,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104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세계시민교육 실행의 어려움’이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유아시민교육의 특성’과 ‘교사양성과정에서의 경험’이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특성‘과 ’재직기관의 특성‘, ’초임기 교사의 특성‘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반성적 성찰‘, ’나만의 세계시민교육 찾기‘, ’다양한 자원 활용‘이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로는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 형성‘, ’성장하는 교사‘, ’유아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체념적 태도‘가 도출되었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세계시민교육 실행에서의 저해요인을 극복하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 강화하기‘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세계 시민교육 실행에 대한 구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on the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Participants were thirteen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ollow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104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iscovered in open coding. And after paradigm analysis in axial coding,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found as a phenomenon. Casual conditions for phenomenon wer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ldhood citizenship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in the training course'. In addition, teachers' difficulties could b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teachers'. These categories can be context condition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used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doing reflective thinking', 'finding my ow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using various resources'. These strategies were influenced by 'teachers' experienc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ers' accountability'. As a result, 'building an early childhood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e', 'growing teachers' and 'resignation for early childhood citizenship education' were established. Finally, results found 'overcoming specific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trengthening early childhood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e' as a core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