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 and Legitimation of Public Organization - The Case of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Ⅲ. 연구문제 Ⅳ. 사례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전략과 정당성에 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Boyne & Walker (2004)의 전략 자세(strategic stance) 유형에 관한 이론과 Suchman(1995)의 정당성에 관한 이론을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Boyne & Walker(2004) 전략 유형 분류를 적용하였을 때, 공공기관도 상위기관의 지시에 수동적으로 따르는 반응형(reactor) 뿐만 아니라,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에 대응하는 공격형 (prospector)이나 방어형(defender) 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실질적 정당성(pragmatic legitimacy) 뿐만 아니라 도의적 정당성(moral legitimacy), 인지적 정당성(cognitive legitimacy)이 공공조직 변화의 원인이 되며, 공공기관의 변화를 결정 하는 타 상위기관의 근거가 된다.
This historical research examines the strategy and the legitimation of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which is a public institution in the quasi-governmental sector. This article classifies strategic stances into prospector, defender, and reactor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Boyne & Walker(2004). The characteristics of legitimacy are divided into pragmatic legitimacy, moral legitimacy, and cognitive legitimacy according to Suchman(1995).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organizations in the quasi-governmental sector act as prospectors and defenders, not only as reactors. Second, moral legitimacy and cognitive legitimacy can cause structural changes of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changes of public organizations are warranted in the eyes of government, the president or the assembly, on a basis of moral and cognitive legitimacy as well as pragmatic legitimacy. This suggests the reasons for changes in public organizations differ from in private institution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0호 ~ 2020권 20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19호 ~ 2020권 19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
127권 0호 ~ 12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