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 Agriculture Governance Assemblage in Seoul: A Formative Phase in the Early 2010s
10.25202/JAKG.9.2.9
I. Introduction II. The Resurgence of Urban Agriculture in Seoul III. Unveiling Heterogeneous Actors and Actions IV. Conclusion: Summary and Discussion References
지난 10여 년간 서울에서는 도시농업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이것을 가능하게 했던 도시 거버넌스의 모습을 본 논문에서 드러내 보여주고자 한다. 도시농업 거버넌스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기 위한 전략으로 ‘아상블라주’ 개념을 활용하였고, 도시 거버넌 스의 작용과 기능에서 인간, 비인간 행위자, 조직과 제도, 지식, 사건, 지리 등이 주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탐구 전략은 도시 거버넌스 분석에서 만연한 ‘스케일’ 정치 중심의 구조주의적 의무에서 탈피하기 위한 것이다. 경험적 연구의 결과로 서울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도시농업 거버넌스 아상블라주는 이동성을 가진 원거리의 지식과 실천, 박식한 시민사회와 거기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네트워킹, 리더십 비전, 적응력 있는 관료사회 등 이질적이면서도 공생관계에 있는 요소들의 관계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스케일, 영토, 영역 등으로 정의되는 제도와 정치라기보다 비영토적 흐름과 연결망 속에서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거버넌스 아상블라주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인 수준에서 위상학적 관계에 주목하여 도시 거버넌스와 정책 형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a governance configuration that enabled the resurgence of urban agriculture in Seoul during the early 2000s. For the purpose of tracing and unveiling the formation process of urban agriculture governance, the idea of ‘assemblage’ is utilized to resist structuralist imperatives on the one hand, and understand on the other how particular humans, nonhuman actor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knowledges, events, and geographies co-produce governing actions and functions in the city.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urban agriculture governance assemblage effective to Seoul consists of such heterogenous but symbiotic elements as distant knowledge and practices in motion, knowledgeable civil society and its active involvement in social networking, leadership visions, and adaptive bureaucracy. The presence of relational governance assemblage suggests that non-territorial flows and connections are as much influential as territorially defined institutions and politics. That said, more analytical attentiveness to topological relationalities may help enrich our understanding of urban governance and policy formation in more general.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2권 3호 ~ 22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9권 3호 ~ 9권 3호 |
|
54권 4호 ~ 54권 4호 |
|
25권 0호 ~ 25권 0호 |
|
32권 4호 ~ 32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Acta Via Serica |
5권 2호 ~ 5권 2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8권 4호 ~ 8권 4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Acta Via Serica |
1권 0호 ~ 5권 1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30권 3호 ~ 30권 3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20권 2호 ~ 20권 2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