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美)에 대한 욕망으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화장한다. 남성 화장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맨즈 뷰티 유튜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뷰티 유튜버 콘텐츠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화장동기가 뷰티 유튜버 콘텐츠 이용목적과 경험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가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2019년 11월 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0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동기가 콘텐츠 이용목적에 미치는 영향은 타인의식 동기, 자기만족 동기는 정보 목적, 여가 목적에 긍정적 영향을, 타인의식 동기는 소통 목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타인의식 동기, 자기만족 동기 모두 뷰티 유튜버 콘텐츠를 화장법, 제품, 유행 등의 정보 목적과 오락적인 여가 목적으로 활용하며, 타인의식 동기는 뷰티 유튜버 콘텐츠를 타인과의 원만한 소통 목적으로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화장동기가 경험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타인의식 동기, 자기만족 동기 모두 효용성 가치, 유희성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중, 화장으로 타인의 주목을 받기 원하는 타인의식 동기가 콘텐츠 서비스 이용 시, 경험하는 효용성 가치와 유희성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용자의 경험적 가치가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효용성 가치, 유희성 가치 모두 공유의도, 구매의도,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중, 효용성 가치가 콘텐츠를 공감하고 타인에게 전파하고자 하는 공유의도, 소개제품 구매의도, 지속사용의도를 나타내는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Men wear makeup because of their desire for beauty. As the men's makeup industry is revitalized, Men's beauty YouTubers is popul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ke-up motivation on beauty YouTubers Contents usage purpose and experience value, and the effect of experience value on users' responses for men in their 20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5 to December 15, 2019, and 19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make-up motivation on contents usage purpose was positive for others consciousness motivation and self-satisfaction motivation on Information purpose and leisure purpose. others consciousness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purpose. Second, the effect of make-up otivation on experienc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utility value and playfulness value on both consciousness motivation and self-satisfaction motivation. Third, the effect of user's experience value on users' responses had a positive effect on sharing intention,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in both utility value and playfulness value.
UCI(KEPA)
간행물정보
: 예체능분야 > 미술
: KCI등재
:
: 계간
: 1229-5558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5-2020
: 1396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