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묘족 은장식에 대한 미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형식미와 내용미로 나누어 탐구하였는 바, 먼저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은장식 작품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형식미를 유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묘족 은장식에 내재된 내용미를 탐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묘족 은장식은 인체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머리 장식, 목/가슴 장식, 팔 장식, 의복 장식, 등 장신구, 허리띠 등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묘족 은장식의 형식미는 형태의 다양성, 구도의 대칭성, 표현의 과장성 등이 도출되었다. 형태의 다양성은 종류별로 보면, 기하형, 동식물형, 길상형, 생활도구형이며, 구성별로 보면 평면과 입체, 구상과 추상, 단일과 중첩 등으로 구분된다. 표현의 과장성은 이다위복, 이중위귀, 이대위미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묘족 은장식의 내용미는 역사ㆍ이주문화의 체현, 자연의 체현, 종교 신앙의 체현, 부ㆍ계급ㆍ권리의 체현 등으로 정신적 문화적 내적의미들을 유추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형식미를 토대로 내용미를 탐구함으로서 묘족 은장식에 있어 체계적인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묘족 은장식은 단순한 장식물이 아니라 그 미학적 가치가 매우 높아 현대 장신구 디자인에 풍부한 아이디어와 영감을 제공한다. 본연구 결과가 현대 장신구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stud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ilver ornaments of the Myojok, we explor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formal beauty and content beauty. we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 collected silver ornament works, and inferred formal beauty through content analysis. We explored the content beauty inherent in silver decorati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lver ornaments of the Myojok can be classified into 7 types, such as head ornaments, neck/chest ornaments, arm ornaments, clothing ornaments, back ornaments, and waistbands, focusing on the body part. second. As for the formal beauty of Myojok silver ornaments, the diversity of forms, symmetry of composition, and exaggeration of expression were derived. Diversity of forms is divided into geometric type, animal and plant type, auspicious type, and life tool type. By composition, it is divided into plane and three-dimensional, framing and abstract, and unity and superposition. The exaggeration of expression was characterized by Lee Da-wibok, double- wigwi, and Lee Dae-wimi. Third, the meaning of the silver ornaments of the Myojo people inferred their mental and cultural inner meanings through the embodying of history and migration culture, the embodying of nature, the embodying of religious faith, and embodying wealth, class, and rights.
The Miao silver ornament is not just a decoration, but its aesthetic value is very high, providing rich ideas and inspiration for modern ornament desig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modern ornaments.
UCI(KEPA)
간행물정보
: 예체능분야 > 미술
: KCI등재
:
: 계간
: 1229-5558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5-2020
: 1396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