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포츠영화의 시대적 변화와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한국영화DB(KMDb)와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KOBIS) 검색,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각 시대별 주류 종목 및 스포츠영화를 파악할 수 있었고, 당대 스포츠계와 시대상을 읽을 수 있었다. 1960년대는 권투와 프로레슬링처럼 싸우는 기술을 겨루는 투기 종목 영화가 주류인 ‘투기의 시대’였다. 1970년대는 태권도 및 야구 영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나 태권도 영화의 인기가 압도적이었으며, 액션 장르가 주축을 이룬 ‘태권 열풍과 고교야구 전성기’였다. 1980년대는 프로스포츠와 인기 만화에 힘입어 권투 및 야구 영화가 활성화되었으나 권투의 인기는 점차 감소하는 ‘권투의 역설과 프로야구 흥행’이 특징이었다. 1990년대는 다시 태권도 영화가 다수 제작되었고, 새로운 종목 소재의 영화가 등장했는데 ‘태권도의 부활과 새로운 시도’에 기인한 것이었다. 2000년대는 비인기 종목과 실화 소재의 스포츠영화가 큰 흥행을 거뒀고, 다양한 종목뿐 아니라 축구 소재 영화에서 ‘스포츠 다양성과 월드컵’효과가 두드러졌다. 2010년대는 실제 야구 종목의 인기와 여러 야구 영화를 중심으로 색다른 소재의 스포츠영화가 다수제작되어 ‘야구 황금기와 소재의 확장’이 돋보인다. 향후 한국 스포츠영화는 다채로운 소재를 발굴·창작하고, 장르적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Sports Movies(KSM)’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through Korean Movie Database(KMDb) and Korea Box-office Information System(KOBIS) 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 the 1960s, ‘the era of 1on1 physical match’ was dominated by KSM that competed for fighting skills. In the 1970s, Taekwondo and baseball movies played a large part, and it was the ‘Taekwondo craze and high school baseball heyday’. In the 1980s, boxing and baseball movies were activated under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ports and cartoons, but the popularity of boxing gradually declined, characterized by the ‘boxing paradox and the success of pro baseball’. In the 1990s, a number of Taekwondo movies were produced, and new sports-related films emerged, which was attributed to ‘the resurrection of Taekwondo and new attempts’. In the 2000s, KSM of unpopular sports and true stories were successful, and the ‘sport diversity and FIFA World Cup’ effect was outstanding in various films. In the 2010s, a number of KSM with different themes centered on the popularity of real baseball and baseball movies are produced, highlighting the ‘golden age of baseball and the expansion of material’.
UCI(KEPA)
간행물정보
: 예체능분야 > 체육학
: KCI등재
:
: 격월
: 1738-964x,1738-9666
: 2508-7029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55-2020
: 8233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