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ysical Planning of Exclusive Pedestrian District - Focused on the Jungang Street in Suncheon city, Jeollanamdo Province -
Ⅰ. 서론 Ⅱ. 공간구상을 위한 개념 고찰 Ⅲ. 대상지역 현황 및 사례조사 Ⅳ. 보행자 전용지구 공간구상 Ⅴ. 사회ㆍ문화적 효과 분석 Ⅵ. 결론
본 연구는 최근 도시마다 도심공동화 현상과 함께 원도심의 경제적 쇠퇴, 기존 시설물의 물리적 노후화 등이 발생됨으로써 복합적 문제점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도심재생을 위한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대안으로 도심지의 일정구역에 차량진입을 제한하는 보행자 전용공간 계획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의료원 로터리∼남교 오거리) 일원이다. 연구내용은 우선 중앙로를 중심으로 시간 및 공간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으며, 다음으로 원도심 활성화 전략으로서 보행자 전용지구를 설정해 성공을 거둔 국내외 선진사례의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계획측면 및 조성기법을 고찰했다. 또한 대상지역의 거리 이용자와 상인을 대상으로 주변 환경과 보행자 공간조성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전용지구 공간에 대한 기본구상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회·문화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주변 정비계획으로 행정적 지원사항과 편의시설의 계획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시행을 위해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At present there happen to be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old down town and new urbanized area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eclined old down town, pedestrian mall as a open space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of urban revitalization in old down town. With these consideration in min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plans for pedestrian mall as a part of revitalization of old downtown. Focusing on the ‘Jungang Street’ of the old downtown of Suncheon-si, this study intend to grasp present status of using public space and suggest a new plan for improving use of the exclusive pedestrian distric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space for pedestrian only. Objective of old downtown revitalization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old downtown and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As its utilization target, this study proposed the exclusive pedestrian district as a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and as contributing elements to downtown activation. As a result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concrete measures for improving the old downtown revitalization by suggesting physical plans using the exclusive Pedestrian District. In addition to pedestrian district plan, a plan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proposed.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자치발전 |
2020권 1호 ~ 2020권 1호 |
지역정보화 |
126권 0호 ~ 126권 0호 |
|
19권 3호 ~ 19권 3호 |
|
37권 2호 ~ 37권 2호 |
|
52권 2호 ~ 52권 2호 |
|
4권 2호 ~ 4권 2호 |
|
32권 5호 ~ 32권 5호 |
|
32권 4호 ~ 32권 4호 |
자치발전 |
2019권 12호 ~ 2019권 12호 |
지역정보화 |
125권 0호 ~ 125권 0호 |
자치발전 |
2019권 11호 ~ 2019권 11호 |
부동산학보 |
13권 0호 ~ 16권 0호 |
부동산학보 |
10권 0호 ~ 9권 0호 |
부동산학보 |
5권 0호 ~ 8권 0호 |
부동산학보 |
1권 0호 ~ 4권 0호 |
지역정보화 |
124권 0호 ~ 124권 0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자치발전 |
2019권 10호 ~ 2019권 10호 |
|
19권 2호 ~ 19권 2호 |
부동산학보 |
82권 0호 ~ 82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