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Model Gender in Outdoor Clothing Advertisement Pictur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이 연구의 목적은 아웃도어 의류의 핵심소비층으로 여겨지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남성모델로 구성된 광고사진과 여성모델로 구성된 광고사진을 각각 따로 보게 한 후 여대생들이 인지하는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도의 관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모여자대학교의 222명 학생들이였다. 최종분석을 위해 총 217(97.7%)부의 응답설문지가 이용되었다. 측정항목의 개념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남성모델로 구성된 광고사진과 여성모델로 구성된 광고사진의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도의 관계 모형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는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이미지는 구매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lationships among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perceived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core consumers of outdoor clothing after seeing advertising pictures consisting of male model and advertising pictures consisting of female model separately. A total of 217 (97.7%) response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om a women’s univers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models of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advertising pictures, which consist of male model and female model, were found to be no different. Advertising att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brand image. Brand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Brand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but brand im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urchasing inten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5권 0호 ~ 55권 0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도예연구 |
29권 0호 ~ 29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21권 5호 ~ 21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20권 3호 ~ 20권 3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조형논총 |
1권 0호 ~ 2권 0호 |
조형논총 |
4권 0호 ~ 6권 0호 |
조형논총 |
16권 0호 ~ 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