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Visual Factors of Domestic Premium Cosmetic Package Design on Brand Association, Brand Trust,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Female consumers of Shanghai, China -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중국시장의 한국 프리미엄 화장품 대상으로 패키지 디자인 시각적 요소의 요인을 밝히고, 패키지 디자인 시각적 요인이 브랜드 연상, 브랜드 신뢰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해 중국 상하이 여성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중 색채와 용기 요소가 브랜드 연상에, 색채 요소가 브랜드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인 중 색채 요소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연상, 브랜드 신뢰 중 브랜드 신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패키지 디자인의 색채요인이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요인보다 이성적 요인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국시장에서의 한국 화장품 산업에 대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package design visual factors in Korean domestic premium cosmetics market in China, and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visual factors on brand intention and brand trust is to identify the purchase inten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a quantitative study of women in Shanghai, China, on the design of Korean luxury cosmetics brand pack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visu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the color and container elements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brand association and color factors have the biggest impact on brand trust. Second, among the visual factors of package design, color factor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ird, brand trust among brand association and brand trust has an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lor factor of package design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nes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that rational 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emotional factor for brand. These results can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smetic industry in the Chinese marke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3권 0호 ~ 63권 0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도예연구 |
29권 0호 ~ 29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21권 5호 ~ 21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20권 3호 ~ 20권 3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조형논총 |
1권 0호 ~ 2권 0호 |
조형논총 |
4권 0호 ~ 6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