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on Firms’ Productivit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및 분석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가족친화제도의 확산을 통해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을 달성하고, 나아가 저출산과 고령화 등 직장-가정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족친화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대시켜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 삶의 질과 여가를 중시하고 가정을 배려하는 기업이 더 나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인증제도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들의 내부자료를 수집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추정한 후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의 인증 전후의 생산성 변화를 통해 가족친화인증제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산성은 Tomiura (2007)의 연구를 참조하였고 독립변수는 시장점유율의 대용변수로서 매출액 증가율을 사용하였으며, 대주주 지분율, 연구개발비, 자기자본비율 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인증변수는 인증을 받으면 1,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설정한 더미 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Chamberlain방법, 패널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가족친화인증여부는 기업의 생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종속변수와 설명변수 간 아무런 함수관계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추정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가족친화인증제도는 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생산성의 증가율이 약 0.22∼1.9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needed to establish social perception of family friendly business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and to minimize social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low birth rates and aging. To do this, it is requir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family friendly business firms is improving their productivi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 the effect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System(FFS) on Firms’ Productivity. For analysis, we collected the data from FFS Certified firms and estimated the productivity of the firms. And then, we observed the deviation in the productivity between pre- and post-certification.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paper are Chamberlain model and Panel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reported that FF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s’ productivity. Additionally, we performed the nonparametric estimations that assumes no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FFS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s’ productivity. Specifically, in terms of productivity growth, FFS Certified firms are 0.22~1.95% more productive than those does no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열린충남 |
91권 0호 ~ 91권 0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한국경제의 분석 |
26권 3호 ~ 26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해양한국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