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혁준, 기영훈, 곽승준, 배은준 2019. “간편결제서비스의 등장 배경과 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에관하여,” 지급결제학회지 , (11:1), pp. 171-193.
2. 김두진 2017. “핀테크산업 발전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경영법률 (27:2), pp. 405-453.
3. 김성환, 도연우 2019. “한국 기업에서 4 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영경제연구, (41:3), pp. 167-188.
4. 김소이 2010. “스마트폰과 지급결제 부문의 컨버전스 현황 및 시사점,”
5. 김숙현, 류지수 2016. “스마트금융의 발전전략에관한 연구: 기업은행의 스마트뱅킹을 중심으로,”디지털경영연구, (4:1), pp. 1-21.
6. 김승래 2019. “4차 산업혁명과 금융 데이터산업의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지급결제학회지 , (11:1),pp. 95-129.
7. Developing A Quantitative Model for Strategic Planning in Mobile Internet Service
8. 김진한, 강우성 2017. “모바일 금융 서비스의 제품특성과 소비자 특성이 이용 형태에 미치는 영향-소비 경험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2:4), pp. 1-29.
9. 김홍곤, 김소담, 김희웅 2018. “핀테크 기반 주식투자 최적화 모델 구축 사례 연구: 기관투자자 대상.” 지식경영연구, (19:1), pp. 97-118.
10. 맹수석 2019. “금융혁신 관련 규제법의 쟁점,” 한국금융소비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 pp. 123-141.
11. 국내·외 핀테크 서비스 및 정책 동향 분석
12. 박정국, 김인재 2015. “금융혁신을 위한 핀테크 서비스의 보안 리스크 대응방안 연구”. 지식경영연구, (16:4), pp. 35-45.
13. 배영임, 신혜리 2019. “규제샌드박스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언,” 이슈 &진단, pp. 1-27.
14. 최근 핀테크의 지급결제시장 참여 확대와 시사점
15. 송상민, 조인희, 조재립 2010. “엔터테인먼트 향상을 위한 연구: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1), pp. 83-89.
16. 신용재, 신영미 2016. “국내 모바일 지급결제 서비스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시사점,” 경영사연구(경영사학), (78), pp. 55-78.
17. 안용섭 2019. “스마트 금융시대 전자금융 문해력향상 방안. In 2019,” 한국금융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pp. 43-62.
18. 원종현 2010. “스마트폰 발매가 전자금융서비스에미칠영향,”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회답.
19. 이동규, 이성훈 2015. “IT 와 은행의 새로운 융합형태,” 한국정보기술학회지 , (13:1), pp. 55-58.
20. 이영찬 2011.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플랫폼 선정에 관한 연구: 우즈벡 은행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2:3), pp. 97-109.
21. 이제영 2018. “핀테크 산업 확대에 따른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43:9), pp.1550-1560.
22. 임정하 2019. “핀테크를 통한 직접금융의 확대와소비자보호: P2P 대출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소비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9:1), pp. 45-64.
23. 임철현 2019. “전자금융사기 피해에 대한 적극적인 사법구제의 필요성,” 법학논고 , (65), pp. 257- 282.
24. 조성인, 장원중, 홍성우, 김광용 2019. “간편결제서비스의 사용의도와 금융소비자 보호 제고방안에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pp. 785-794.
25. 조현숙, 양승복 2011. “스마트폰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16:5), pp. 147-152.
26. 주강진, 이민화, 양희진, 류두진 2017.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현황, 사례, 규제에 대한 개괄적 고찰,” 한국경영과학회지 , (42:4), pp. 1-14.
27. 주나영, 김종원, 김은정 2017. “모바일 뱅킹에서핀테크 서비스로의 전환 시 고객만족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6:4), pp. 203-225.
28. 정우진, 김현석, 조신 2019. “ICT 산업의 R&D 투자가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측정”, 지식경영연구, (20:1), pp. 27-43.
29. 천성용 2015. “쿠폰 할인 프레이밍과 조절 초점이온라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 (23:1), pp. 47-62.
30. 최창열, 함형범 2015. “핀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론적 연구,” e-비즈니스연구, (16:4),pp. 85-100.
31. 최호성, 김정대 2019. “한국형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산업융합촉진법, 정보통신융합법, 금융혁신법, 지역특구법을 중심으로,”디지털융복합연구, (17:3), pp. 73-78.
32. 하성호, 주성현, 김도형 2012. “스마트폰 뱅킹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 (12:4),pp. 91-120.
33. 홍선기, 고영미 2019. “개인정보보호법의 GDPR및 4 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법학논총, (43:1), pp. 313-337.
34. Bechtold, J., Lauenstein, C., Kern, A., and Bernhofer, L . 2014. “Industr y 4.0 -The Capgemini Consulting View,” Capgemnini Consulting , 31.
35. The Hard Truth About Business Model Innovation
36. Competitive strategy for paradigm shif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37. Pollari, I., and Ruddenklau, A. 2019. “The pulse of FinTech 2018-Biannual global analysis of investment in FinTech,” KPMG International Cooperative
38. Prahalad, C. K., and Krishnan, M. S. 2008. The new age of innovation . McGraw-Hill Professional Publishing.
39.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