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서사 속에는 다양한 공간들이 형상화되어 있다. 특히 판소리 서사 속의 공간은 집이나 마을과 같은 현실 공간이든 꿈이나 용궁 등 비현실 공간이든 현실성에서 벗어나 환상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해 ‘판소리 서사 속에 그려진 공간들이 어떠한 원리 혹은 직조 방식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가?’라는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대상으로 삼아, 판소리 서사의 공간 구성 및 서술방식에 대한 시론을 개진하였다. 판소리 서사는 직, 간접적인 체험이 담긴 경험공간, 문예물 속에 구성된 초경험적 상상 공간을 통해 이야기 공간의 깊이와 폭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을 서사 속으로 가져오는 과정에서 시간성, 거리감을 생략하거나 초경험적 공간과 비현실적 요소 등을 첨가하면서 사실성보다는 환상성을 극대화하고 강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공간 구성과 서술은 판소리 서사 향유층들의 공간 및 존재에 대한 욕망,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 및 장소감 공유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Various spaces are embodied in the Pansori narrative. However, space in the Pansori narrative is common because it presents a fantastical aspect that is beyond reality. Focusing o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and description method of Pansori narrative, while focusing on the Yulnyuchoonhyangsujulga. Pansori narrative expands the depth and breadth of story space through experience spaces contain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hyper-experiential imagination spaces that are composed of literary object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each space into the narrative, it tends to omit the temporality and sense of distance, or includes a superexperienced space and unrealistic elements to maximize and strengthen the illusion, rather than the reality of each space. This spatial composition and description is seemingly related to the desire for space and the existence of Pansori narrative enjoyment,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 world, and shared sense of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