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que of Human Desire through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in Faust
10.31310/HUM.076.02
Ⅰ. 들어가는 말 Ⅱ. 상업성과 예술성의 대립 Ⅲ. 대립 구도 형성 Ⅳ. 인간의 무한한 욕망과 자본주의 비판 Ⅴ. 맺음말
『파우스트』는 괴테 당대에 미래를 예견한 작품이며 자신의 삶을 일부 고백한 작품이기도 하다. 괴테가 20대 젊은 시절에 쓰기 시작해서 60년을 매달려서 완성한 이 작품은 그의 폭넓은 경험과 합쳐져서 훨씬 더 설득력 있고 훌륭한 작품으로 승화된다. 결국 죽기 1년 전에 마무리한 이 역작에는 근대 유럽을 주도한 근대인의 삶이 반영되어 있다. 괴테 스스로가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물로서 파우스트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평생을 글 쓰는데 몰두했고 특히 그가 1832년 죽는 날까지 쓴 『파우스트』에는 그가 평소에 하고자하는 이야기가 내재되어 있다. 파우스트는 일생 동안 학문 연구를 위해서 노력하고 절제된 삶을 살아 왔는데 그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메피스토펠레스라는 자기 내면의 악인을 내세워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면서도 본능적인 욕망을 추구한다. 그의 욕정은 결국 책임질 수 없는 일을 저지르면서 한 순진한 소녀와 그녀의 가정을 파멸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인간의 자만심과 욕망이 성찰 없이 질주할 때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근대의 인물들은 욕망에 사로잡혀 열심히 사는 데만 치중했지 그 결과가 개인과 인류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성찰은 부족했다.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를 대치시키고 상업성과 예술성, 이상과 현실, 선과 악 그리고 창조와 허무를 대립시키는 방법을 통해 반성과 성찰 없는 욕망의 실현이 결국에는 개인을 파괴하고 더 나아가서는 인류를 파괴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Faust is not only a work that predicted the future in the period of Goethe but also is a confession of part of the author’s own life. Goethe began writing the novel in his youth when he was in his twenties and the broad experience of his author amalgamated into it, thus making it a much more convincing and wonderful work. The work was completed a year before Goethe’s death and it reflected the life of a modern man. Goethe himself was a man who was constantly trying to be a Faustian. He devoted himself to writing throughout his life, and in particular Faust, which he wrote until his death in 1832. Faust is at odds with his own inner malice and pursues instinctive desires. His sexual appetite ultimately leads to the destruction of an innocent girl and her family. In Faust, Goethe shows how the self-esteem and the desires of a man bring about the inevitable consequences when they are not based on self-retrospection. The modern man focuses on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but does not think about how the result affects the individual and humanity. Goethe warns us of the possibility that the realization of human desires ― when devoid of self-examination ― would someday destroy people’s lives and even humanit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98권 0호 ~ 98권 0호 |
|
39권 4호 ~ 39권 4호 |
현대향가 |
1권 0호 ~ 3권 0호 |
한국불교사연구 |
18권 0호 ~ 18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
9권 2호 ~ 9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30권 0호 ~ 30권 0호 |
|
86권 4호 ~ 86권 4호 |
|
93권 0호 ~ 93권 0호 |
|
40권 0호 ~ 40권 0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121권 0호 ~ 121권 0호 |
|
120권 0호 ~ 120권 0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131권 0호 ~ 131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3권 0호 ~ 63권 0호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1권 0호 ~ 6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