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1985/JCL.78.5
Ⅰ. 緖論 Ⅱ. 《漢語大詞典》疏失項目 Ⅲ. 結論
이 글은 《太平廣記·夢部》를 텍스트로 하여 그 어휘들과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어휘 사이의 疏失 문제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太平廣記》는 송대 초기에 편찬된 종합 소설 총집으로서 그 안에 수록된 이야기에는 많은 특수 어휘와 속어들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도 있어서, 《漢語大詞典》을 보충할 수 있는 자료이자, 문자학과 어휘학을 연구하는 자료로서도 큰 가치를 가진다. 이 글은 《太平廣記·夢部》에 수록된 이야기에 등장하는 어휘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漢語大詞典》의 수록 여부와 그 의미를 대조하여, 《漢語大詞典》편찬과정에서 유실된 부분이나 의미가 잘못된 부분들을 정리하였다. 즉, 《太平廣記》에는 나오지만 《漢語大詞典》에는 수록되지 않은 ‘旌幢’이라는 어휘를 찾아내었고, ‘洞精’과 ‘峻峙’이라는 어휘는 《漢語大詞典》에 존재하기는 하지만, 《太平廣記》에서 쓰이는 그런 의미는 밝혀져 있지 않았다. 또한 ‘囑’、 ‘端揆’、 ‘考滿’、 ‘筷’의 네 어휘는 《漢語大詞典》에 의미의 고증 연대가 누락되어 있었고, ‘悉率’라는 어휘는 《太平廣記》와 《漢語大詞典》이 각각 의미를 달리하여 쓰이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some omissions in the Great Chinese dictionary based on the data of Tai Ping Guang ji. As a collection of novels, Taipingguangji contains a wealth of language vocabulary materials, not only including a large number of special vocabulary and slang words, but also a lot of words that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to, which has a high linguistic research value, so it can provide reference for the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Great Chinese Dictionary. The improvement of the Great Chinese dictionary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system of words and the historical line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meaning of words, and rest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s objectively and truly as possible. This paper takes the vocabulary in the text of Tai Ping Guang ji as the research object, compares the words received and the meanings explained in the Great Chinese dictionary, and sorts out some omissions and errors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Great Chinese dictionary. Including lost word, lost word meaning, documentary evidence lag, documentary evidence error and wrong interpret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10권 0호 ~ 1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
91권 0호 ~ 91권 0호 |
|
102권 0호 ~ 102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81권 0호 ~ 81권 0호 |
|
105권 0호 ~ 105권 0호 |
|
101권 0호 ~ 101권 0호 |
|
90권 0호 ~ 90권 0호 |
|
72권 0호 ~ 72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93권 0호 ~ 93권 0호 |
|
104권 0호 ~ 104권 0호 |
|
100권 0호 ~ 100권 0호 |
|
84권 0호 ~ 84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99권 0호 ~ 99권 0호 |
|
88권 0호 ~ 88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