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1985/JCL.78.2
Ⅰ. 머리말 Ⅱ. 李商隱의 田園詩 創作 背景 Ⅲ. 田園詩의 構造와 內容 分析 Ⅳ. 맺음말
본고는 이상은의 영락시기(844-845)의 전원시에 관한 연구이다. 그의 전원시는 이 시기나 다른 시기의 그의 다른 작품과는 차별화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이상은의 전체시 근 600수 가운데 영락 시기에 쓴 시는 모두 40수이다. 이 가운데 전원시는 21편에 해당한다. 형식상으로 5언 絶句는 없고, 7언 절구 3수, 律詩 11수(5언 10수, 7언 1수), 그리고 排律 7수(5언)이다. 배율은 12, 16, 20句로 이루어져 있고, 이 외에 다른 형태의 배율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시기에 이상은 은 형식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장편의 排律을 사용하여 그의 소회를 자유롭게 그리면서도 中唐以後 5언을 正例로 하던 시단의 경향인 工整을 그대로 지켰다. 둘째, 전원시에서는 일상 소재를 사용하여 사물을 의인화 하고 이를 시적 화자의 은유적 대상화 하여 ‘托物寓懷’하거나 ‘以情入景’의 시작법을 구현하였다. 소재로 사용된 제재는 자연적 요소와 인위적 요소를 망라한다. 특히, 배율은 자연 소재를 典故, 故事, 史實 등 다양한 지식적 요소와 결합하여 詩意를 보다 중층화 하고 심화시켰다. 그의 전원시는 은일적인 귀향의 노래가 아니라 안빈낙도의 가난을 즐거움과 정신적 고결함으로 긍정하면서도 출사에 대한 현실적 기다림을 공존시켜 상징화 하고 내재화 한 노래이다. 셋째, 격구상승·수미호응 등을 추구하면서 기승전결의 양식을 기본 전개 구조로 삼았으며, 주어+술어+대상의 형식을 서술구조와 율격의 형식을 배열하는 형식미를 중시하였다. 그리고 장, 구, 자법 등에 있어서 대구, 대우 등을 비롯하여 첩어, 첩자, 의태어, 반어법, 허사의 활용 등을 통하여 시의 意境과 意象을 확장시키고 있음이 드러난다. 넷째, 이상은의 영락시기 전원시는 ‘出仕와 隱居’라는 삶의 조건을 매개로 그의 시세계가 현실과 이상을 조화와 균형감각 속에서 이지적 비유와 감추어진 比興의 기법으로 읊은 표현이 많다. 주변에 존재하는 일상과 평범한 자연물을 자신의 생활과 분리시키지 않고 끌어들여 그 본질을 자신의 의지와 꿈을 실어내는 시 창작에 접목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I have appreciated and analyzed Li Shang-yin(李商隱)’s poetry of the ‘Pastoral-lif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600 poems of the poetry, 40 poems were written during the Yongle(永樂) period, of which 21 poems belong to Pastoral potery. There are 3 poems in seven words Jueju(絶句, four line), 22 poems in Lushi(律詩, eight line), and seven poems in Pailu(排律). Many of Pailu were written using free poetic writing, which is of 12, 16, and 20line(句), and no other form. Second, in poetry of the ‘Pastoral-life’, the objects were personified using everyday materials and they were metaphorically objectified by poet. The material encompassed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 Pailu(排律), the natural materials were combined with various knowledge elements such as the late, the event, and the historical event, and the meaning of poetry was further deepened and deepened. Third,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based on the basic development structure of the form of the poetry, which pursuits the formal beauty of the form. In addition, the status of poetry is expanded through contrast, comparison, duplicate words, mimetic words, irony. Fourth, Li Shang-yin’s poetry of the ‘Pastoral-life’ is a work that naturally uses the intellectual metaphor and comparison. His poetry affirmed the joy and spiritual integrity of poverty, not the silvery homecoming song, but it symbolized and internalized the real waiting for the outing.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92권 0호 ~ 92권 0호 |
|
103권 0호 ~ 103권 0호 |
|
10권 0호 ~ 1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
91권 0호 ~ 91권 0호 |
|
102권 0호 ~ 102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81권 0호 ~ 81권 0호 |
|
105권 0호 ~ 105권 0호 |
|
101권 0호 ~ 101권 0호 |
|
90권 0호 ~ 90권 0호 |
|
72권 0호 ~ 72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93권 0호 ~ 93권 0호 |
|
104권 0호 ~ 104권 0호 |
|
100권 0호 ~ 100권 0호 |
|
84권 0호 ~ 84권 0호 |
|
89권 0호 ~ 89권 0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