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d Social Mobility and Social Cohesion
1. 들어가며 2.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사회이동실태 3. 우리 국민의 사회이동성 인식 4. 사회이동성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5. 나가며 참고문헌
이 글은 한국 사회 사회이동성의 실제와 인식을 비교하고 정책적 지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객관적 이동성은 낮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식적 차원에서 이동성 인식은 점차 나빠지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부모 세대의 영향력, 공정성 및 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인식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나빠진 이동성 인식이 사회통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해석하면서 우리 사회가 사회이동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펼쳤던 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정책목표 외에도 결과의 불평등을 줄이는 것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1권 4호 ~ 51권 4호 |
|
47권 4호 ~ 47권 4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Research in Brief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
52권 0호 ~ 52권 0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국제사회보장리뷰 |
15권 0호 ~ 15권 0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395권 0호 ~ 395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290권 0호 ~ 290권 0호 |
|
25권 4호 ~ 25권 4호 |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
5권 0호 ~ 5권 0호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2호 ~ 2020권 2호 |
이주와 통합 |
12권 0호 ~ 12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289권 0호 ~ 289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Research in Brief |
2020권 10호 ~ 2020권 10호 |
|
17권 3호 ~ 17권 3호 |
|
51권 0호 ~ 5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