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ternal succession and creativity of the Maiden Tigress in Gimhyeongamho
10.31036/jyfpc.33.2
Ⅰ. 머리말 Ⅱ. 선도산 산령각 탱화에서 만난 호랑이 Ⅲ. 도래한 신들과 여산신 호랑이의 공존 Ⅳ. 전통의 계승과 창조의 「김현감호」 호랑이 Ⅴ. 일연 스님의 「김현감호」 이야기의 재맥락화 Ⅵ. 맺음말
진한의 형산(兄山)을 중심으로 삶의 터전을 잡았던 원주민들이 신앙했을 원형의 호랑이 여산신과 「김현감호(金現感虎)」의 호랑이와의 조우를 통해 우리는 먼저 호랑이 여산신의 전통 계승과 창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계승은 「김현감호」에 등장하는 어머니 호랑이를 통해 확인된다. 창조는 「김현감호」에 등장하는 아가씨 호랑이를 통해 확인된다. 한편 오늘날 선도산의 산령각에 모셔진 호랑이는 「김현감호」호랑이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오늘도 선도산에 오르면 만날 수 있는 탱화 속의 호랑이는 다층적 정체성을 「김현감호」호랑이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삼국유사』소재 「김현감호」이야기의 또 한 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김현감호」를 『삼국유사』<감통> 편의 맥락 속으로 배치한 일연 스님의 의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김현감호」가 불가능한 사랑을 사랑한 진정한 사랑의 이야기이지만 이것이 『감국유사』<감통> 편에 수록되는 순간 그 의미는 재맥락화가 된다. 재맥락화의 결과로 이 불가능한 사랑의 세속적 사랑이야기는 숭고하고 거룩한 종교의 이야기가 된다. 일연 스님은 이와 관련하여 부정과 부정에 대한 긍정, 그리고 긍정에 대한 재부정과 이 재부정에 대한 재긍정의 논리를 펼쳐서 이 이야기를 ‘기도와 감응’의 불교 이야기로 재맥락화 하는 창조자의 솜씨를 발휘한다.
The inheritance and creation of the tradition of the tigress mountain spirit is reflected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archetypical tigress mountain spirit, who natives must have worshiped after building a life base around the Mt. Hyeong of Jinhan, and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Its inheritance is confirmed in the mother tigress in Gimhyeongamho, and its creation is confirmed in the maiden tigress in it. The tiger at the house for the guardian of Mt. Seondo today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inheriting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The tiger in the altar portrait of Buddha, which one can watch in Mt. Seondo today, is considered to have inherited its multi-layered identity from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Finally, it is needed to consider Ilyeon's intention behind placing Gimhyeongamho in the context of "Gamtong" in Samgukyusa in order to understand another layer of the Gimhyeongamho story in Samgukyusa. Although Gimhyeongamho is a love story to depict impossible love, its meanings were re-contextualized the moment that it was included in "Gamtong" in Samgukyusa. The outcome of its re-contextualization is the shift from a secular impossible love story to a sublime and divine faith story. Ilyeon exerted his skills as a creator that re-contextualized this story into a Buddhist story of "prayer and divine response" by developing a logic of denying, affirming what was denied, re-denying what was affirmed, and re-affirming what was re-deni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1호 ~ 37권 1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2호 ~ 2020권 1호 |
교양교육과 시민 |
3권 0호 ~ 3권 0호 |
휴먼웨어 연구 |
3권 2호 ~ 3권 2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4권 1호 ~ 4권 1호 |
|
13권 4호 ~ 13권 4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