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rt Competition
10.46394/ISS.37.2.8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이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실시 경연대회 공정성 평가지표를 보안한 참가자 중심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무용, 음악, 미술, 연극ㆍ뮤지컬ㆍ영화, 전통예술 분야 전문가 76명이 응답을 근거로 개발된 ‘국가지원예술경연대회 공정성 평가지표’의 수렴 및 판별타당도와 문항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타당화 하였다. ‘국가지원 예술경연대회 공정성 평가지표’의 타당화를 위하여 무용, 음악, 미술, 연극ㆍ뮤지컬ㆍ영화, 전통예술 분야 전문가 76명의 의견을 근거로 한 타당도검증과 예술경연대회 현장 참가자 215명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반영 채점기준은 심사과정 적절성 영역 20%, 심사위원 구성 적절성 영역 30%, 심사계획 적절성 영역은 20%, 심사결과 공정성 영역은 30%이며, 4영역 12문항의 수렴 및 판별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화 과정에서 각 문항의 중요도는 문항별로 다르며 각 영역과 문항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한 채점기준은 5점부터 13.5점 사이로 각 문항의 다른 채점기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표의 타당화를 위한 경연대회 참가자 인식 개최과정의 공정성은 다르게 변별되었다.
This study validated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index for the 'National Arts competition fairness index' developed based on responses by 76 experts in dance, music, art, theater, musical, film and traditional arts to secure evaluation indexes applied to assess the fairness of the contest at the Art Management Support Center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6. In the process, 'National Arts competition fairness index' was confirmed based on 76 expert opinions on dance, music, art, theater, musical, film and traditional arts and 215 art competition participant opinion. The results show the criteria reflect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exes appeared 20% in the assessment process, 30% in the appropriate facet, 20% in the proper facet of the review plan, and 30% in the fairness facet of the evaluation plan, and the extracted 4 factors and 12 items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verified. The importance of the index depends on the items and the score criteria reflecting the weight of the facets, and the importance of items showed a value between 5 and 13.5 and the criteria of factors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perceived fairness convergent from the art contest participant opinions was supported, and 'National Arts competition fairness index' was finally validat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2권 2호 ~ 32권 2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Asia Pacific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
1권 3호 ~ 1권 3호 |
|
38권 2호 ~ 38권 2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11권 4호 ~ 11권 4호 |
|
59권 6호 ~ 59권 6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스포츠과학 |
153권 0호 ~ 153권 0호 |
|
29권 4호 ~ 29권 4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55권 0호 ~ 55권 0호 |
|
8권 4호 ~ 8권 4호 |
|
31권 3호 ~ 31권 3호 |
|
25권 3호 ~ 25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