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 병원 2곳, 재활의학센터 1곳, 그리고 발달장애 클리닉 1곳에서 정신장애 진단을 받은 21개월에서 59개월 영유아 12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어머니 우울평가척도 (BDI),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척도(K-PS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은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의 아동 및 부모영역 수준이 증가할수록 어머니의 우울 수준도 증가했다. 셋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두 문제행동은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을 통해서 부모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중매개를 통해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유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으로 이어질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할 때 양육스트레스의 두 영역 사이에서 경로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 The participants comprised 129 mothers who have infants at the age of 21 months to 59 months with mental disorders. The infant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respectively based on Chid Behavior Checklist(CBCL 1.5-5),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Parenting Stress Index(PSI).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higher PSI score was shown in both Child and Parent domain, the higher Depression score was shown among mothers. Third, both scores of Parent and Child domains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at two domai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when the behavioral problems of mentally disabled infant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