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Use Social Media in Peace Education
Ⅰ. 서 론 Ⅱ. 공유와 개방, 참여를 지향하는 평화교육 Ⅲ. 평화교육의 도구로서 소셜미디어 Ⅳ. 평화학습의 공간으로서 소셜미디어 Ⅴ. 결 론
평화교육은 평화와 폭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공유’하고, 다양성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개방’적인 태도로, 평화를 구축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이다. 참여, 개방, 소통, 협업을 특성으로 하는 소셜미디어는 평화교육의 주요 도구이면서, 평화교육의 공간이 된다. 소셜미디어는 집단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 소외된 집단에 발언권을 부여하며, 평화의 행동을 동기화한다. 사회적 구성주의와 연결주의는 소셜미디어라는 제3의 공간에서 학습자가 평화 능력을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학습자는 온라인 공간에 등장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평화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eace education is a process of “sharing” critical reflection on peace and violence,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peace-building activities in an “open” attitude that embraces and respects diversity. Social media,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opennes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the main tools of peace education and become a space for peace education. Social media mediates conflict between groups, gives voice to marginalized groups, and synchronizes actions of peace. Social constructivism and connectionism describe the process by which learners learn peace abilities in a third place, social media. Learners can gain valuable information about peace by analyzing the various data that appear in the online spac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2권 4호 ~ 42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