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언
Ⅱ. 1880년 구형법의 제정 및 폐지
Ⅲ. 1907년 현행형법의 제정과 1945년 패전 이전의 형법개정
Ⅳ. 1945년 패전 이후의 형법개정 (1) : 전면개정의 시도와 좌절
Ⅴ. 1945년 패전 이후의 형법개정 (2) : 일부개정의 내용과 주요쟁점
Ⅵ. 글을 맺으며
우리나라의 현행형법은 1953년 제정 이래 그간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크고 작은 일부개정이 단행되어 왔었고, 전면개정의 시도 또한 이어져왔다. 우리나라 형법의 현재를 객관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법률 개정의 필요성이나 방향성 등을 가늠함에 있어서 주요 국가의 형법의 개정의 연혁이나 최근의 개정 동향을 살펴보는 일은 비교법학의 측면에서 유용한 작업이 될 것이라 본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일본의 경우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해 프랑스형법전(1810년)을 모법으로 하여 1880년에 최초의 근대적 형법전인 구형법(정식명칭은 ‘형법’)이 제정되었고, 이후 입헌군주제인 프로이센 독일의 형법전(1871년)을 모방하여 신파이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현행형법이 1907년에 제정되었다. 일본의 현행형법은 제정된 지 110년이 넘어선 법률인바, 이를 형법개정의 측면에서 보면 1945년의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이 극적인 분기점이 된다. 패전 이전의 군국주의 하의 전시상황 등에서 이루어졌던 개정과 패전 이후 연합국군총사령부의 점령 하에서 국민주권, 평등주의 자유주의 등을 표방한 신헌법(1946년) 하의 개정으로 그 성격이 대비되기 때문이다.
한편, 패전 이후의 형법개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자면, ①패전 직후 신헌법(1946년) 하에서 단행되었던 1947년의 일부개정부터 ‘형사입법의 동면기’로 불리던 198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 ②컴퓨터범죄에 대응한 개정이 이루어졌던 1987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로 양분해볼 수 있다. 후자는 특히 2000년 이후부터는 형법개정이 빈번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입법의 활성화’ 시기로 정의되고도 있다. 한편, 위 ①의 시기에는 1961년의 「형법개정준비초안」과 1974년의 「형법개정초안」으로 대표되는 형법 전면개정의 시도가 있었지만, 패전 이전에 성안되었던 「개정형법가안」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한 것으로 치안우선의 국가주의적 색채가 농후하다는 비판에 부딪혀 결국 입법화에 이르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형법과 법계수사적 측면에서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 일본의 형법에 초점을 맞추어 그 연혁과 형법개정의 내용, 주요쟁점, 그리고 최근 동향 등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 형법의 연혁과 일부개정의 경과와 쟁점, 그리고 형법 전면개정의 시도와 이를 둘러싸고 진행되었던 논의상황 등은 형법의 전면적인 개정을 오랫동안 논의해왔고, 일부개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우리에게 비교법적으로 참고 되는 부분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우선 일본의 최초의 근대적인 형법인1880년 제정의 구형법(舊刑法)의 제정 및 폐지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 후(본고Ⅱ), 이어서 1907년에 제정된 일본 현행형법의 개정의 경위와 내용, 주요쟁점을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전(본고Ⅲ)과 패전 이후(본고Ⅳ·본고Ⅴ)로 구분하여 각각 검토하고 있다.
Current criminal Act of South Korea was enacted in 1953. A partial revision of the Criminal Act has been made to accommodate the changes of the times. Several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revise the Criminal Act on a full scale. It is important to look objectively at the Criminal Act in our country, and to gauge the need or direction of future law revisions. Looking at the evolution of criminal law in major countries or the recent trend of revision will be useful in terms of comparative law.
This study focuses on Japan Criminal Law, which is deeply related to Korean Criminal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volution of the Japanese criminal law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law, major issues, and recent trends. This is referred to as a comparative law for us, who have long discussed sweeping revisions of the criminal law, and who should continue to push for partial revision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section firstly looks at the old-Criminal Act of 1880 enacted by Japan's first modern criminal law. It then looks at the circumstances, contents and major issues of the revision of Japan's current Criminal Act, which was enacted in 1907. It is examining these separately by dividing them before the World War II (Chapter Ⅲ) and after the World War Ⅱ(Chapter IV & Chapter Ⅴ).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법학
: KCI등재
:
: 계간
: 1598-091x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9-2020
: 1104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