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Germany’s Manufacturing Industry and Industry 4.0 Strategy
10.18237/KDGW.2019.37.4.021
I. 서 론 Ⅱ. 산업의 디지털 전환 Ⅲ. 독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Ⅳ. 결 론 참 고 문 헌
독일은 제조업 부흥과 기술혁신을 위하여 국가차원에서 정부와 민간이 밀접하게 협력하면서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에 독일의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시작된 ‘하이테크 전략’과 2012년의 ‘인더스트리 4.0 이니셔티브’ 전략 그리고 계속된 개정 전략은 독일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지원하고 있다. 독일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기술적요인과 중국 등 신흥국의 부상으로 격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 환경의 변화로 인한 위기의식 그리고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고객 선호의 변화, 선진국 내 제조업 부활정책 등 경제 및 사회적 변화가 있다. 독일은 제조업 디지털화의 비전을 정책 차원에서 제시한 최초의 국가로서 독일 특유의 방식에 따라 학계와 산업계에서 논의가 출발하여 정부차원의 정책으로 장기간에 걸쳐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다. 독일이 글로벌 제조 시장에서 선도적인 경쟁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된 가장 큰 이유는, 연방정부의 지속적이며 일관된 산업기술 발전전략수립과 혁신정책, 과감한 재정지원 그리고 구조적으로 잘 작동하는 산·학·연의 협력체계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정부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정책과 독일의 기술혁신 체계를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는 한국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기술혁신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o reviv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German economy, German government is pushing for digitalization of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ntinuous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 close cooperation of government and public sector. The-High-Tech Strategy, which began in 2006 as part of Germany’s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ndustry 4.0 initiative in 2012 and continuous revision of innovation strategy, support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enhanc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which is the basis of the German economy. The driving forc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German industry ar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such as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trong challenge of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movement of customer preferences from product to service and reviving policy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developed countries. This external driving forces pushed Germany to present its vision of manufacturing digitalization on a policy level with Germany’s unique method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industry, many discussions have begun first in academia and industry and this discussions passed on later to the government, which was implemente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 government-level policies. Germany’s strong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s the continuous and consisten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old financial support, and the cooperation structure of industry-academia-government that works structurally well. In this paper, I analyz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German economy and Innovation strategy of German Government, and would like to recommend implicatio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Korean economy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한국경제의 분석 |
26권 3호 ~ 26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해양한국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29권 4호 ~ 29권 4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