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1883년 11월 울릉도로 도항하여 섬에 있던 목재를 일본까지 불법으로 반출해 간 사건을 두고 조선과 일본이 교섭한 전말을 외교사료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 사건을 일으킨 자는 에히메현 출신으로 덴주마루를 운항하였던 무라카미 도쿠하치였다. 무라카미는 세 번에 걸쳐 울릉도까지 왕래하면서 일본 상인에게 고용되어 목재를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 사이에 일본 내무성에서는 히가키 나오에를 울릉도로 파견하여 섬에 체류하고 있던 일본인들을 전원 퇴거시켰다. 무라카미가 목재를 반출했다는 소식을 일본 현지에서 접한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은 가이 군지를 에히메현 현지로 보내어 조사하고 소송을 제기하도록 했다. 조선 정부에서도 새로 체결한 「조일통상장정」을 위반한 것을 거론하면서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재판 진행 과정에서 일본정부도 무라카미의 행위가 조약 위반임을 인정했으며, 규정에 따라 벌금을 징수하고, 목재를 매각한 비용을 정산하여 조선 정부에 건네주었다. 여기서 활용된 조관은 제33관과 제40관이었다. 재판 과정에서 남아 있던 압수물품을 어떻게 처분할지를 두고 일본 정부 내에서 논의가 있었는데, 결과적으로는 무라카미에게 돌려주었다. 조선정부에서는 비개항장의 밀반출 물품에 대하여 청구권을 행사하는 조약상 근거로 「조일통상장정」을 적극 활용하였다. 일본 정부에서는 외무성과 내무성, 사법성 등이 논의를 진행하면서 대응 방향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향후 자국민의 조선도항을 단속하는 기준을 마련해 나가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The article review all th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over the illegal shipment of timber from Ulleung island to Japan by sailing in November 1883 based on the documents from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外務省外交史料館). The man responsible for the incident was Tokuhachi Murakami(村上德八) from Ehime Prefecture(愛媛縣) who flew Tenjiumaru. He traveled to Ulleung Island three times, where he was hired by a Japanese merchant to transport timbers. Meanwhile, Japan’s Naimusho (內務省) dispatched officer Naoe Higaki(檜垣直枝) to Ulleung Island to evict all Japanese staying in the island. Kim Ok-kyun(金玉均), a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東南諸島開拓使) who heard that Murakami had shipped out the timber, sent Gunji Gai (甲斐軍治) to Ehime Prefecture to investigate and file a lawsuit. The Joseon government also officially raised the issue, citing the violation of the newly signed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and Responses of Various Countries in 1883. In the course of the trial, the Japanese government admitted that Murakami’s conduct was a violation of the treaty, collected fines according to regulations, settled the cost of exporting the timber and handed it over to the Joseon government. The treaty’s articles cited here were the 33th and the 40th. There was discussion within the Japanese government about how to dispose of the confiscated items left over during the trial, which eventually returned them to Murakami. The Joseon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the newly signed trade treaty as the basis for exercising its claim against goods smuggled out of non-opening ports.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as setting up a countermeasure as the Foreign Ministry, the Interior Ministry and the Judicial Affairs Ministry were discussing the issue about sailing to Joseon by Japanese, and it was setting a standard to crack down on future.
UCI(KEPA)
간행물정보
: 인문과학분야 > 동양사
: KCI등재
:
: 연3회
: 1229-4446
: 2671-583x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55-2020
: 857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