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Trade of Korean Japan : Focusing on the Material Industry
Ⅰ. 서 론 Ⅱ. 한ㆍ일 소재산업의 상품 및 기술무역현황 Ⅲ. 한ㆍ일 소재산업의 기술무역 경쟁력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최근 일본정부가 한국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작하자, 한국 정부의 소재산업에 대한 뒤늦은 자성이 들끓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형의 핵심 소재의 대일 무역 집중도와 함께 소재산업에 대한 기술무역특화지수를 통해 한ㆍ일간 유, 무형의 무역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산업의 상품무역특화지수를 주요3국(미, 중, 일)간 살펴보면, 미국과의 소재산업 경쟁력은 다소 우위를 보이고 있으나, 일본과 중국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교열위인 상태인 수입특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주요 4개국과의 산업별 기술무역특화지수를 살펴보면 소재산업에서 일본(-0.96), 영국(-1.00)에 기술경쟁력이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일본에 대한 유형의 소재산업의 경쟁력 약화뿐만 아니라 무형, 즉 기술무역 측면에서의 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기업의 지속가능한 전략 및 정부의 정책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Recently,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he export control of the core materials of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sectors in Korea, it is the time when the magnetism for the delayed materials industry of the Korean government is boil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il and intangible trade competitiveness of Sakai-day oil through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rade of core materials in Japan and the technical trade index of material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mmodity trade specialization index of the raw material industry among the three major countries (US, China, Japa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w material industry with the United States is somewhat superior, but for Japan and China, It is still showing the import specialization trend. Secondly, looking at the technical trade specialization index by industry with the four major countries shows that Japan (-0.96) and the UK (-1.00) are very weak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 industry.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formulate sustainable strategies and policies not only to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Japanese type of material industry, but also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 industry in terms of intangibles, that is, technology trad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한국경제의 분석 |
26권 3호 ~ 26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해양한국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29권 4호 ~ 29권 4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