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Visual Resources Illustrated in the Unit ‘Molecular Motion and Change of State’ - Focu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7th Grade Science Textbook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Ⅱ. 연구 결과 및 토의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 ‘분자운동과 상태변화’ 단원에 제시된 시각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교과서별로 전체 시각자료의 개수 및 종류, 교수-학습 단계별 개수 및 종류, 교수-학습 단계에 따른 시각자료 개수 및 종류를 분석하였으며, 과학교과서의 학습동기유발, 학습자료제공, 탐구방법안내, 실험결과및개념정리 단계를 분석하였다. 과학교과서 분석에서, 시각자료의 종류는 ‘사진’, 교수-학습 단계별 시각자료 빈도수는 ‘학습자료 제공’ 단계에서 가장 높게 제시되었다. ‘사진’이 학습동기유발 및 학습자료제공 단계에서, ‘실험 장치와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시한 것’은 탐구방법 안내 단계에서, ‘실험수행 후 표와 그래프를 완성하도록 제시한 것’과 ‘그래프와 도해를 혼합하여 해석하도록 제시한 것’은 실험결과및개념정리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is regarding visual resource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articularly in the chemistry section of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 The visual resourc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format and function, and each category's frequency in the textbook is analyzed, followed by more detailed analysis on types of visual resources of different functions. The most frequent format of visual resources is photograph, whereas their most freq uent function is informative. In the motivational/informative categories of function, ph otographs was the most frequent type. In the instruction on procedures categories, pictures of instruments and actual conduc t. In the results categories, complete table & graph and interpret the results graph & illustr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respectivel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