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ing Pictures with Storie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 Focusing on symbols and allegorical meanings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알레고리적 사진의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등사진교육에서 ‘이야기가 있는 사진 찍기’는 현장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는 주제이다. 주변을 관찰하고, 대상을 정하여 촬영하고, 이에 대한 의미부여와 감상까지 연결되는 수업의 일환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사진수업은 일반적으로 눈에 띄고, 관심 있는 대상을 촬영하여, 그것에 스토리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이 다반사다. 그러다보니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미지에 개인적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사진이 갖고 있는 표면적인 면, 즉 외시적(denotation)인 측면만 강조되는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저학년 수준에서는 이런 수업도 의미가 있으나, 고학년의 사진수업에서는 촬영뿐만 아니라 사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의미론적 수업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사진이 갖고 있는 함축적 내지는 내포적(connotation)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알레고리적 사진 찍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알레고리는 일종의 비유에 해당하는 수사법으로, 상징과 비견되는 개념이다. 즉 상징은 사진 속에서 보편적이고, 일차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반면, 알레고리는 숨겨진 혹은 다의적인 차원에서 다뤄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상징과 알레고리를 통한 사진 찍기와 해석 방법론, 그리고 선택한 사진을 의인화 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까지의 과정을 고찰하기로 한다.
In the elementary photography education, “Taking pictures with stories” is the process that must be done obviously from the selection of subject and object to the shooting and the interpretation. Though a curriculum is run in the field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put a story into the art with images. And it is true that there are difficulties and limits of teaching. So, this researcher will deal with not only the meaning structure methodology of symbol and allegory but also the problems of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to this as the methodology containing a story in the photograph. Especially, as the illusion about totality and unity has been weakening since the modernism era, it refers to the way that is developed based on the integration and pastiche between various fields and genres shown in the modern art, the significance of meaning, the polysemy and the uncertaint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er will propose the mechanism to interpret allegory for how allegory works and interprets a meaning in various ways in the photography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 to develop the discussion in the following methods. First of all, I aim to examine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allegory and present the theory of Walter Benjamin that newly developed the concept of allegory in the modern art and Paul de Man’s methodology that opened the way for a new dismantling interpretation in the modern art. And, as the application and the method of the photography education, I intend to present the way for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and the appreciation criticism through the meaning of allegorical photography and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works. Since allegory is a somewhat difficult concept at the elementary level, I would like to propose an interesting allegory connection structure by personifying the objec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40권 6호 ~ 40권 6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
77권 0호 ~ 78권 0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39권 4호 ~ 39권 4호 |
|
40권 5호 ~ 40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59권 3호 ~ 59권 3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
44권 2호 ~ 44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
39권 3호 ~ 39권 3호 |
|
59권 2호 ~ 59권 2호 |
|
48권 2호 ~ 48권 2호 |
|
40권 3호 ~ 40권 3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44권 1호 ~ 44권 1호 |
|
40권 2호 ~ 40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