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cad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절차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The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e Korean curriculum has also undergone many changes, aiming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changes in science and curriculum, we examined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Professionalism(PCK)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of science teachers over the past decade. For this study, 359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2008, whe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and 360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2018,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were examined for 10 years of changes in perceptions and PCK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2018,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Nevertheless, cognition was found to be ‘normal’.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ducing the contents of learning,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and securing flexible timetables, and raising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and parents as a condition for the succes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2018. Third, the results of PCK survey through self-diagnosis, teachers’ PCK o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such as competence to secure curriculum contents knowledge, comprehension of curriculum and class composition related to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eaching strategy for integrated, cre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integrated teaching, efforts to improve administrative constraints and the professionalism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 was ten years ago. Therefore, the recent emphasis on convergence education has increased the experience of applying convergence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 was seen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efforts of science teachers to meet the changes in the education paradigm.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
77권 0호 ~ 78권 0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39권 4호 ~ 39권 4호 |
|
40권 5호 ~ 40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59권 3호 ~ 59권 3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
44권 2호 ~ 44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
39권 3호 ~ 39권 3호 |
|
59권 2호 ~ 59권 2호 |
|
48권 2호 ~ 48권 2호 |
|
40권 3호 ~ 40권 3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44권 1호 ~ 44권 1호 |
|
40권 2호 ~ 40권 2호 |
|
48권 1호 ~ 48권 1호 |
|
59권 1호 ~ 59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